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퍼온 글>

檀園 金弘道 금강사군첩(金剛四郡帖)

금강전도(金剛全圖)

보통 <금강사군첩(金剛四郡帖)> 60폭으로 알려져 있는 진경산수 화첩이다.

1첩(帖)당 12폭씩 묶어 5첩(帖)으로 나뉘어 있는데

오동나무판을 겉표지로 삼고 있다.

겉표지에 「금강전도(金剛全圖)」라는 표제가 묵서(墨書)되어 있을 뿐

서문(序文)이나 발문(跋文), 제화시(題畵詩) 등은 일체 없고

각 폭 그림마다 해당 진경(眞景)의 명칭이 역시 묵서(墨書)되어 있는데

단원 글씨는 아니다.

그림 제목이 되는 이 명칭 곁에 ‘檀園’ ‘弘道’라는 두 방의 방형백문(方形白文) 인장이

폭마다 찍혀 있으나

이 조악(粗惡)한 인장은 후낙관(後落款)으로 이 그림을 손상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 화첩은 본래 70폭이었다 하는데

근년에 10폭이 흩어지고 60폭만이 다시 5첩(帖)으로 꾸며진 모양이다.

흩어진 10폭은 다음과 같다.


1. 청허루(淸虛樓),

2. 천연정(天然亭),

3. 영랑호(永郞湖),

4. 단발령(斷髮嶺),

5. 정양사(正陽寺),

6. 만폭동(萬瀑洞),

7. 신계사(神溪寺),

8. 옥류동(玉流洞),

9. 외선담(外船潭),

10.유점사(楡岾寺)


본래 이 화첩은 단원이 정조의 어명을 받들어

관동지방의 해산승경(海山勝景)을 사생해 온

‘봉명도사첩(奉命圖寫帖)’이라는 꼬리를 달고 다니던 화첩인데

연천(淵泉) 홍석주(洪奭周, 1774~1842)의

「서영명위장해산화권(書永明尉藏海山畵券」(『淵泉集』 권20)과

「제단원해산첩(題檀園海山帖)」, 칠십수 선이십삼(七十首 選二十三)(『淵泉集』 권4) 및

항해(沆瀣) 홍길주(洪吉周, 1786~1841)의

「제해산첩후(題海山帖後)」(『표롱을참()』 권5) 등의 글이 세상에 알려지면서

이 화첩이 정조대왕의 유일한 부마도위(駙馬都尉)이던

영명위(永明尉) 홍현주(洪顯周, 1793~1865) 구장(舊欌)의

그 정조 어람본(御覽本) <해산첩(海山帖)>이라는 주장이 나오게 되었다.


연천과 항해는 영명위의 백중씨(伯仲氏)들로

이들이 남긴 윗글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본래 정조가 단원에게 관동의 해산(海山) 승경을 그려 오게 하자

단원은 왕명을 받들어 70폭 그림을 그려 바치게 되고

정조는 이를 5권의 화첩으로 만들어 왕실 내부(內府)에 비장한다.

그 뒤 순조 9년(1809)에 순조가 이 화첩을 매제인 영명위에게 하사하게 되고,

영명위는 3년 뒤인 순조 12년(1812)에 백씨인 연천에게 부탁하여 그 서문을 짓게 하였으며,

다시 9년 뒤인 순조 21년(1821)에는 연천이 매 폭마다 제화시를 지으니 70수에 이르렀었다.


이 글들을 화첩 속에 미처 써넣지 않고 있다가

다시 8년 뒤인 순조 29년(1829)에 영명위는

중씨인 항해에게 부탁하여 이를 정서하여 화첩에 넣게 하고 그 전말을 밝히는

후기(後記)를 붙이도록 한다.

이런 내력을 가진 화첩이라면 응당 연천 형제들의 서문이나 발문은 물론

연천의 70수 제화시가 이 화첩에 합장(合裝)되어 있어야 한다.

그런데 이 <금강전도>첩은 이런 것들이 하나도 합장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 화첩이 곧 영명위 구장첩이자 정조 어람첩이라고 단정짓기는 곤란하다.
10폭의 그림이 흩어지는 과정에서 이런 글씨들이 분리될 수도 있겠지만

구태여 분리시켜 영명위 구장이거나 정조 어람본이라는 증거를 인멸할 이유가 없으니

이 역시 설득력 있는 추측이라 할 수는 없다.


그러나 이 <금강전도>첩의 내용을 살펴보면

단원 특유의 산수기법을 도처에서 확인할 수가 있다.

그래서 이 진경산수화첩을 일단 《해산첩(海山帖)》의 원형으로 보고

다른 문제들은 장차의 연구에 맡기기로 하겠다.

단원의 스승인 표암(豹菴) 강세황(姜世晃)의

「유금강산기(遊金剛山記)」(『豹菴遺稿』, 권4)에 의하면,

이 <해산첩>은 정조 12년(1788) 무신(戊申) 가을에

단원이 복헌(復軒) 김응환(金應煥)과 함께 관동 9군(郡)을 편답하면서 그려낸 것이라 한다.

이때 76세의 표암이 44세의 단원을

그 큰자제인 강인이 부사로 와 있는 희양에서 만나

9월 13일부터 17일까지 함께 금강산을 유람하며 사생하였다고 한다.
현재 5첩으로 꾸며진 이 <금강전도>는

10폭이 흩어질 때 장첩(裝帖)도 일부 교란된 듯 편답 순서가 곳곳에서 뒤바뀌어 있다.

연천이 읊었다는 제화시는 23수만 『연천집』에 수록되어 있으니

남은 시들을 찾아내는 일이 또 하나의 과제이다.

 

 

out_download.php?disk=30&id=460642084165

 


out_download.php?disk=34&id=460642084ff3

 


out_download.php?disk=29&id=460642085c52

 


out_download.php?disk=12&id=460642086b0b

 


out_download.php?disk=36&id=460642089342

 


out_download.php?disk=15&id=46064208d8ab

 


out_download.php?disk=34&id=46064209051f

 


out_download.php?disk=17&id=460642090ce5

 


out_download.php?disk=27&id=460642091a7a

 


out_download.php?disk=22&id=46064209258b

 


out_download.php?disk=30&id=460642092d97

 


out_download.php?disk=4&id=460642093c65b

 


out_download.php?disk=24&id=4606425a1c16

 


out_download.php?disk=23&id=4606425a211d

 


out_download.php?disk=1&id=4606425a2f4de

 


out_download.php?disk=16&id=4606425a37f1

 


out_download.php?disk=25&id=4606425a4199

 


out_download.php?disk=31&id=4606425a4c08

 


out_download.php?disk=35&id=4606425a5ca5

 


out_download.php?disk=18&id=4606425aab34

 


out_download.php?disk=19&id=4606425add7d
out_download.php?disk=33&id=4606425b020c

 


out_download.php?disk=24&id=4606425b14b0

 


out_download.php?disk=31&id=4606425b21f5

 


out_download.php?disk=16&id=460642b0e3f5

 


out_download.php?disk=19&id=460642b10256
out_download.php?disk=12&id=460642ae2711

 


out_download.php?disk=28&id=460642b13566

 


out_download.php?disk=2&id=460642b14b520

 


out_download.php?disk=10&id=460642b169b9

 


out_download.php?disk=5&id=460642b181bd5

 


out_download.php?disk=31&id=460642b198ed

 


out_download.php?disk=31&id=460642b1bbb1

 


out_download.php?disk=4&id=460642b216467

 


out_download.php?disk=10&id=460642b245a7

 


out_download.php?disk=19&id=460642b253e8
out_download.php?disk=25&id=460642ef2fc5

 


out_download.php?disk=23&id=460642ef73bf
out_download.php?disk=36&id=460642efa85a

 


out_download.php?disk=28&id=460642efc14b

 


out_download.php?disk=15&id=460642f004c2

 


out_download.php?disk=8&id=460642f048cfd

 


out_download.php?disk=33&id=460642f06802

 


out_download.php?disk=17&id=460642f078be

 


out_download.php?disk=42&id=460642f08f4c

 


out_download.php?disk=5&id=460642f0ac3e5

 


out_download.php?disk=16&id=460642f0b0f0

 


out_download.php?disk=12&id=460642f0c0b4

 

 

out_download.php?disk=14&id=45b0dd2c4972

 


out_download.php?disk=15&id=45b0dd2c881e

 


out_download.php?disk=18&id=45b0dd291118

 


out_download.php?disk=21&id=45b0dd2ceb24

 


out_download.php?disk=9&id=45b0dd2d259f3

 


out_download.php?disk=18&id=45b0dd2d7c38

 


out_download.php?disk=30&id=45b0dd2dc51c

 


out_download.php?disk=11&id=45b0dd2deb82

 


out_download.php?disk=6&id=45b0dd2e2de85

 


out_download.php?disk=7&id=45b0dd2e66c76

 


out_download.php?disk=7&id=45b0dd2e88816

 


out_download.php?disk=19&id=45b0dd2ec132

 

 

  • 정병호 2016.10.14 22:50
    좋고 유익한 그림입니다.
    앞으로도 이런 좋은 자료 올려주시게
  • 구달 2016.10.15 04:56
    그림과 글 모두
    숨막히게 찬란하네.
    고맙네.
  • 啞嵓 2016.10.15 09:45

    우리 선조들의 '미술 하는' 솜씨는 정말
    '숨막히게 찬란'합니다.

    간결하면서도 세밀하고
    은은하면서도 굉장하고
    비우면서도 채우고
    비뚤리면서도 바로 세웁니다.

    조선 三園(檀園 蕙園 吾園) 三齋(謙齋 玄齋 恭齋) 외에도
    秋史 蓮潭 등등

    전업 화원이나, 선비 문인들까지도 그렇습니다.

    다음엔 우선
    화려하기 그지없는 고려 불화
    몇 점 올리겠습니다.

  • 구달 2016.10.18 04:54
    다시 보게 만드는 그림들이네.

    사진클래스 중 Abstraction 이야기를 하며 힘들던 생각이 나네.
    사실의 기록을 넘어 정서의 공명을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말을 하면서 Ansel Adams의 사진을 같이 나누어 보곤 하지.

    이제 이 그림들과 아암의 설명을 한번 보여주어야 하겠네.
  • 啞嵓 2016.10.24 21:03

    구달,
    요즘 추상화를 시도하고 있네.
    그리기 몹시 힘들더군.

    아직 습작 단계, 모두 그 수준이지만,
    추상 몇 장 그리고 나면 그로기가 된다네.
    구상에선 전혀 경험하지 못하는 사태일세.
    구달이 추상사진에서 힘들다는 뜻과
    같으리라 생각하네.

    남의 그림에 설명 달 수준은 전혀 아닐세.
    아이가 저 좋아하는 걸 가리키며 저거저거 하는 수준에 불과한데
    뭘 설명할 수 있겠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