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조회 수 7565 추천 수 0 댓글 25
Article No. 365 Posted by 許榮煥, on 103/03/05,17:05:56
北核解決方案-以鐵治核-一石多鳥

평화적인 북핵해결방안 :

現況 :

- 미국은 북한에 대하여 '先 핵포기, 後 협상'을 요구하고 있고 북한은 물론 이를 거부하고 미.북간 대화부터 하자고 하며 한국은 아예 도외시하고 있다. 미국과 한국은 동시에 중국.러시아.일본에 대해서도 미국입장을 북한에 설득해 달라고 한다. (물론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과 한국 앞에서는 겉으로는 그렇게 한다고 diplomatic yes만 연발한다. 속으로는 북한이 앞장서서 뒤숭숭하게 떠드는 것을 바랄 것이다.) 약아빠진 일본은 미국의 핵우산아래 경제이익을 위해서 미국편에 바짝 붙어 있으면서 남.북한 모두 자기 영향권에 두려고 호시탐탐하고 있겠지...

-한국은 美.北間 中裁者 역할을 한다며 '대북평화보장및 경제지원과 북한의 핵포기'를 맞교환하는 일괄타결을 추진하면서(미국이 배제하고 있는 미.북二者間 딜링) 그동안 대북 5-10억불 송금설에 이어 기껏 신정부의 미끼라는 것이 동북아경제중심국가건설과 연계하여 남.북종단철도(TKR)와 시베리아횡단철도(TSR) 또는 중국횡단철도(TCR)를 연결하는 안 ( 20세기초에 건설되어 이미 상당히 노후화되어 있고 배편 보다는 좀 빠르다지만 여전히 10여일 이상 걸리는 6.25동란과 8.15해방 이전에 이미 운행되었던 아나로그 골동품 철도시설로서 21세기 동북아경제중심국가건설 concept과는 맞지않는)과 사하린+이르쿠츠크 가스를 개발 북한.한국.일본에 공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나 통 큰 북한 입장에서는 鳥足之血에 불과할 것임. 고객(특히 관건을 쥐고있는 북한,중국,러시아)감동은 커녕 고객만족시키기에도 미흡한 상품임.

解決方案 :

한국이 진정 中裁者또는 당사자로서의 역할을 할 것이라면 '대북평화보장및 경제지원과 북한의 핵포기 맞교환'이라는 현재까지 simulation해온 二者間 shopping list(구체적인 목록은 발표된 내용이 없어 알 수 없지만)를 六者間(多者間) shopping list로 대폭 확대 작성해야 할 것이다. 한마디로 얘기하면 큰 떡을 만들어 관련 6개국이 편안한 마음으로 배불리 먹도록 하자는 것이다. 6국간 win-win-win-win-win-win...
한국이 제대로 用美.用日.用中.用露.用北(核)하여 큰 떡 ( 남북종단고속철도TKER-중국횡단고속철도TCER-러시아횡단고속철도TSER, 부산~Paris 3일내 주파)을 만드는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여야 한다. 소요비용은 수천억$에 이를 것이다. 미국이 중심이된 국제자본과 Euro money를 장기저리로 Project Financing Arrangement하는 것이다. 대미수평관계 조정이니 뭐니하는 어줍잖은 목소리는 먼 훗날로 접어두고 온 국가의 역량을 마케팅5단계외교 ( Marketing 5-step Diplomacy)에 즉각 동원하여 몇달안에 이를 성사시켜야한다.
-북한은 美.日.中.露 다자보증 '평화체제안전보장'과 경의선고속철도 ( 비용;약 200억$[회수불능 공적자금 총액의 약 40%에 불과] 한국부담, 어차피 통일비용으로 1,000억$이상 감내해야 함)를 비롯한 대규모 경제 인프라 지원을 받는다. 일본으로부터 전후보상금 50-100억$ 받는다.
-미국은 북한의 투명한 '핵포기' ( 중국.러시아 보증, 북한 핵개발 재시도시 즉각 무력 응징조건부)를 받아낸다. 유라시아고속철도건설 자본주 역할. 한국의 동북아경제중심국가건설에 미국의 물류.금융기업 대거 진출. 시베리아 가스및 중국서부유전 개발공급 주도참여.
-중국과 러시아는 자국내 고속철도 건설 대가로 북한의 핵포기 적극적으로 설득 강요하지 않을 수 없음.
-한국은 금명간 경부고속철도 건설을 끝내고 운행에 들어간다. 유라시아 고속철도 건설및 중간 물류.신도시.Oil Plant및 제철공장 건설에 대거 참여한다. ( 한국은 실질적인 북한핵해결, 21세기형 동북아중심국가건설, 경제재도약및성장동력 장기간 확보)
-유라시아 고속철도가 실현되면 배가 아픈 일본은 自費로 한.일해저터널및 고속철도건설 연결을 제의해 온다.
-유라시아 고속철도건설에 독일(ICE), 불란서(TGV), 일본(新幹線)을 공동 참여토록한다.
-以鐵治核에 이어 내친김에 한걸음 더 나아가 아랍의 Oil money와 이스라엘의 유태자본을 유치하여 중국고속철도TCER 종착지인 阿拉善에서 분기하는 中東高速鐵道TMEER ( 阿拉善-Kabul-Tehran-Baghdad-Jerusalem-Damascus-Ankara-Istanbul-New Oriental Express-Paris)까지 성공시킨다면 以鐵治中東이란 세계외교사의 금자탑까지 오를 수 있을텐데...(노벨평화상 10개?) Route map - The Silk Route & Central Asia by train

-------------------------------------------------------------------------------------------------------------------------------------------------------------------------------------------------------

북핵위기가 한창 고조되던 10년 전 필자는 홈페이지에 위와 같은 글을 올린 적이 있는데 그 후 상황이 나아지기는 커녕 오히려 악화되고 있는 가운데 북한은 [정전협정 무효화]를 선언하고 근간에 박근혜 대통령은 미국상.하원 합동연설에서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유지해 나가면서 DMZ 내에 세계평화공원을 만들고 싶다...]고 제안하였으나 북한은 즉각 거부의사를 표명하였다. 정부의 관련 부처들은 이 사업 추진을 위한 계획에 착수하였다 한다. 여러가지 잔 가지를 치다가 큰 줄기를 베어낼 가능성을 찾아 보자는 것도 좋은 발상.접근방식이겠으나 우선  최상위의 [평화협정] 체결을 주장하는 북한에게는 먹혀들리가 만무한 것이다.

ImageProxy.mvc?bicild=&canary=7XlXVpMcsnIpb%2fbr2DTBT1gFGpiZMuixrixySz0ffm8%3d0&url=http%3a%2f%2fcfile6.uf.tistory.com%2fimage%2f197AB435513626031F4F4B

▲정전협정문에 나온 서명들


[정전협정]에서 이어지는 [평화협정]이 체결되지 못했던 이유 중의 하나가 북한이 정전협정에 한국은 서명하지 않았기 때문에 [평화협정]은 오로지 미국과 체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고 미국은 [북한의 선제적 변화를 촉구]하며 [핵포기를 우선 실행]하라는 것 때문이다.

한국은 [정전협정]에 서명하지 않은 실질적인 전쟁 당사자로서 오히려 홀가분한 입장에서 과감한 [평화협정]안 - Korean Initiative을 제시하여 실현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이 제안하는 [평화협정](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조선) 민족의 자결권을 맨 앞에 언급함으로써 이 [평화협정]이 우리 민족 전체의 요구(자결권)에 근거한 것임을 분명히 한다.

둘째, 주한미군 철수와 유엔사 해체, (한.미, 조.중)군사동맹 폐기 등 실질적 전쟁 종료를 뒷받침하는 군사적 조치를 규정한다.

셋째, 남북 불가침과 군사적 신뢰 구축, 군축 등 한반도 평화 (남.북 영세중립국)를 제도화하는 규정을 마련한다.

넷째, 핵우산 제공 금지와 북 핵무기 폐기 등 한반도 비핵화를 평화협정의 주요 내용 중 하나로 규정한다.

다섯째, 미군 철수와 북 핵무기 폐기, 남북 상호 군축 (치안 유지를 제외한 90% 감축)을 연동해 실시 (동시 착수, 동시 완료)할 것을 규정한다.

여섯째, 6자 회담 참가국 (한국 - 북한 - 미국 - 중국 -러시아 - 일본) 이 한국과 북한의 체제와 안전을 보장하고 협정문에 공동서명한다.

일곱째, 통일 디딤돌로서 평화협정의 역할을 천명한다. - 일국2체제 - 일국 1체제

 

  •  

아래의 조선일보 김대중 고문 칼럼 [ '韓.美' 변화와 성장 ]에서 보듯이 주변 관계국들의 [한반도 현상황 고착화] 시도도 한시 바삐 불식시키면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입력 : 2013.05.13 22:55

'남·북, 미·중 곤란하지 않게 해야'
美 정책 기조 담긴 72년 닉슨 발언… 한반도쯤은 乙로 보는 대국주의
한·미는 동맹이라도 利害 어긋나면 양보 않는 실무적 관계로 변화
강대국 외교의 교차로에 선 한국

 
박근혜 대통령은 이번 미국 방문을 통해 새삼 '사무적(business-like)인 미국'을 느꼈을 것이다. 아니, 느꼈기를 바란다. 지난 반세기 넘게 한국의 우방이었고, 동맹국이었고, 원조자였고, 친구였던 미국이 더 이상 맹목적 지원자이고 무조건적 시혜자(施惠者)가 아니라는 사실을 말이다.

그것은 무엇보다 우리의 경제적 능력과 정치적 위상이 과거와 다르게 성장했기 때문이다. 과거 한국은 미국에 '특별한 나라'였다. 2차대전 이후 미군이 진출했고 미국이 원조했던 130여 나라 중에서 미국이 심어준 자본주의와 민주주의를 실현해 '미국의 보람'으로 성장한 나라는 오로지 한국뿐이었기 때문이다.

그런 시기는 지났다. 우리는 미국뿐 아니라 세계 어느 나라와도 일방적 시혜가 아닌 쌍방적 거래와 호혜(互惠)로 살아갈 수밖에 없게끔 됐다. 미국이 박 대통령에게 보여준 환대와 배려 깊은 의전과는 별개로 줄 것과 안 줄 것을 가렸던 것도 이제는 '일상적 외교'로 받아들여야 한다.

한국과 미국은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동맹의 굳건함을 과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것은 당연하다. 만약 한국 방어와 대북 기조에 공동보조가 없다면 그것은 큰일이다. 그것이 비정상이다. 하지만 그 상황에서도 박 대통령과 오바마는 대북 기조에서 미묘한 차이를 보였다. 오바마는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나의 접근 방식과 유사하다"면서도 "북한에 믿음을 갖기 위해서는 북한의 행동을 봐야 한다"고 했다. '유사'와 '지지'는 다르다. 뉴욕타임스는 박 대통령의 방점이 '북한과 대화'에 있다면 오바마는 선(先)비핵화에 방점을 두는, 이른바 손을 떼는 불간섭(hands-off) 정책을 강조한 것이라고 했다.

한국의 방사성폐기물 재처리권 확보를 위한 원자력협정 개정 문제에서도 현 협정의 2년 연장에 합의했을 뿐 우리에게 재처리권을 주는 문제에 미국은 완강했다. 전시작전권의 한국군 이양 시기 문제에서도 오바마는 2015년을 시한으로 못 박았고, 박 대통령은 시기 자체를 언급하지 않았다. 이 문제에 진척이 없었다는 뜻이다. 따라서 미국이 요구하는 주한 미군의 주둔비 증액 문제, 미국 미사일방어체제(MD)의 한국 참여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도 한·미 정상은 합의에 도달할 수 없었다.

성숙한 외교에서는 일방적 승리나 전면적 패배라는 것이 있을 수 없다. 다만 서로 필요성의 강도와 우선순위의 차이를 감안한 주고받음이 있을 뿐이다. 그런 관점에서 박 대통령의 대미 협상에 성과, 성공 운운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 성과가 있다면 박 대통령의 개인적 외교 능력, 의사 전달, 통치 철학 등을 상대방에게 주지시키는 퍼포먼스가 아주 잘 이뤄졌다는 점이다. 그의 성실한 존재감이 상대방의 신뢰를 얻었고, 그의 안정감이 우리 국민의 자긍심을 높여줬다는 것은 그것 자체로 좋은 성과라고 말할 수 있다.

한·미 동맹 60주년을 넘기면서 한·미 관계는 서로 입지를 인식하고 자국의 이해와 이익에 어긋나거나 자국민의 정서에 맞지 않는 일은 아무리 우방이고 동맹이라도 양보하지 않는 실무적 양상으로 변화하고 있다. 한·미, 북·중 모두에 해당한다. 그런 의미에서 1972년 미·중 국교 정상화 비밀 교섭 때 닉슨 미 대통령과 저우언라이(周恩來) 중국 총리의 대담을 상기할 필요가 있다. 그 자리에서 닉슨은 1953년 부통령이던 자신이 아이젠하워 대통령 특사로 이승만 대통령을 만나 한국이 38선을 넘어 북진(北進)을 강행하면 미국은 발을 빼겠다고 위협했었다는 비사를 밝히고 "코리안은 북이건 남이건 감성적으로 충동적(impulsive)이다. 그 충동성과 호전성이 우리 두 나라(미국과 중국)를 곤란하게 만드는 사건을 일으키지 않도록 우리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략) 그런 일은 한 번(6·25를 의미함)으로 족하다. 다시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닉슨의 그 발언이 이후 40여년간 미국의 동북아시아 정책의 기조를 이뤄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으로 보인다. 그 점에서는 중국도 마찬가지다. 그 내용을 좋게 해석하면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는 것을 막자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미·중은 한반도에서 '충동적인 충돌'이 확산되는 것을 막는다는 핑계로 북한의 국지적 도발, 빈번한 약속 위반과 대남 테러 등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한국의 분노를 덮어 누르는 따위의 소극적 자세를 취해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극단적으로 말해 갑(甲)의 존재인 미국과 중국은 자신들이 개입하게 되는 '대형 사고'를 막기 위해서라면 '한반도'쯤은 언제든 을(乙)의 처지로 내몰 수 있다는 대국주의를 읽게 한다. 박 대통령은 이 강대국 외교의 교차로에서 엊그제 미국을 찍고 이제 중국을 향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미 제안한 以鐵治核에 덧붙혀 최우선적으로 以撤(美軍撤收)治核으로 기초와 골조를 튼튼히 하고 이런저런 외부마감공사와 인테리어 공사 ( DMZ세계평화공원 - DMZ 전구간과 금강산과 설악산을 포함하는-, 등등...) 를 진행하면 멋진 집이 지어질텐데...

 

서두를 필요는 없지만  정권 1.2년차에 [평화협정] 시동을 걸어 협정문에 서명하고 늦어도 5년 임기내에 평화협정 내용을 종결해야 할 것이다.  5년 임기기간이 모자를 수도 있다.  대통령의 추진동력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 현직 대통령도 연임이 가능한 [대통령 연임 개헌]도 필요할 것이다.  

'꿩 잡는게 매다.'

  • 허영환 2013.05.16 17:28
    [정치] 재정립되는 北·中관계 게재 일자 : 2013년 05월 16일(木)
    中 당간부도 ‘南의 흡수통일’ 거론 시작했다
    北의 3차핵실험 이후에 中 정책 완전히 달라져
    중국 지도부가 북한이 ‘레드라인’을 넘어섰다고 판단한 계기는 ‘2·12 북핵 3차 실험’과 그 이후 북한이 보여준 ‘안하무인’격 태도 때문이라는 게 정부 측 분석이다. 북한 ‘김정은 체제’가 공공연하게 ‘핵보유’를 주장하면서 한·일 양국에서 ‘핵무장’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동북아 ‘핵 도미노’가 현실화될 우려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중국 고위급 인사가 최근 극비리에 방한, 여권 인사와의 면담에서 “더 이상 북한을 지원해선 안 된다는 여론이 형성되면서 중국 정부가 북한 문제로 고민에 빠져 있다”고 속내를 드러낸 것도 같은 맥락이다. 이 인사는 “중국의 많은 지도자가 북한을 중국에 전략적 가치가 아니라 부담으로 생각하고 있다”는 이야기까지 전했다. 중국이 최근 북한의 대외거래 결제기관인 조선무역은행에 대한 제재에까지 동참하는 등 대북압박 고삐를 당기고 있는 것과도 맞아떨어진다.

    이런 흐름 속에서 중국의 학계에서는 물론, 일부 공산당 간부들 사이에서는 한국의 흡수통일 이후 한·중 관계의 새로운 설정 문제를 주제로 활발한 토론이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이 남한 주도의 한반도 통일을 사실상 인정하면서 한·중 간에는 한반도 유사상황과 흡수통일 뒤 한·미 동맹 역할 및 한반도 완충지대화 등을 협의하고 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중국이 북한의 ‘평화적 붕괴’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면서 대북정책 변화를 꾀하고 있다는 분석 또한 잇따른다.

    한·미의 대중 압박도 주효했다. 박 대통령도 15일 언론사 정치부장단과의 만찬에서 “핵이 어떻게 북한을 지켜주느냐. 북한도 그런 환상을 접어야 하는데 그렇게 가도록 하는 데 중국이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미국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글린 데이비스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14일 한국에 이어 15일 중국을 방문한 자리에서도 “중국의 변화는 상당히 중대한 발걸음”이라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특히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 등 ‘5세대’ 지도부는 북한에 상당히 염증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도 공산당 중앙당교 기관지인 쉐시스바오(學習時報)의 덩위원(鄧聿文) 부편집장의 “중국이 북한을 포기해야 한다”는 주장과 유사한 판단을 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 중국이 설정한 비핵화에 북한이 3차 핵실험으로 한걸음 더 멀어진데다, 젊은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어디로 튈지 모른다는 불안감까지 겹쳤다.

    오는 6월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 및 한·중 정상회담에서는 이런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 관계자는 “예전과 달리 최근 중국에서 북한의 평화적 붕괴 이야기까지 흘러나온다는 점에서 중국의 최근 변화는 획기적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보영 기자 boyoung22@munhwa.com
  • 허영환 2013.05.17 10:54

    [동아광장/강봉균]‘한반도 신뢰프로세스’의 핵심도 경제 콘텐츠다

    기사입력 2013-05-17 03:00:00 기사수정 2013-05-17 03:00:00

     
    강봉균 객원논설위원 건전재정포럼대표
     
    박근혜 대통령의 미국 방문은 60년 전통의 한미 방위동맹을 더욱 굳건하게 함으로써 북한의 군사도발을 억지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한미동맹 강화를 넘어 동북아 평화와 발전으로까지 한국의 역할을 확장함으로써 우리의 위상을 높이는 데도 기여했다.

    그러나 북한과 대화의 문을 열어 놓겠다는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구상은 어떻게 북핵문제 해결의 전기를 만들 것인지에 대한 콘텐츠가 부족하다는 게 국내외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북한의 김정은 정권이 관심을 가질 만한 새로운 메시지가 없다는 것이다.

    북한이 핵이나 미사일 개발 같은 무모한 전략을 즉각 포기하고 굶주리는 백성을 먹여 살리려 한다면 우리가 협력하겠다는 제안은 북한에 새로울 게 없다. 경제력이 남한의 30분의 1밖에 안 되는 북한으로서는 남북한 군사력 균형을 유지할 능력이 없고, 한미군사동맹은 계속 강화되고 있기 때문에 유일한 생존수단은 핵 개발밖에 없다는 생각을 더욱 굳힐 가능성이 있다. 다만 북한정권이 의지해왔던 중국마저 최근 핵개발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태도를 보이고 있어 김정은 정권은 새로운 생존수단을 찾아야 할 절박한 처지에 직면해 있다.

    이번 한미정상회담 때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제시한 ‘미얀마 모델’에서 북한과의 대화카드를 찾을 수 있다. 미얀마 모델이란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사찰을 수용하는 대신 외국인 투자를 적극 받아들이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우리가 조금 양보해서 개성공단을 재가동시키고 그 전제조건으로 근로자의 안전보장과 투자자의 사유재산 보호를 요구하면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 후 북한 여러 곳에 ‘한반도 평화공단’을 조성해 한중일은 물론이고 미국기업까지 입주시키면 북한은 더이상 무력도발을 못하고 핵, 미사일 개발에 집착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선(先)개방 프로세스를 통해 자연스럽게 비핵화 단계로 나아가는 게 무조건 핵을 포기하라고 요구하는 것보다 현실성이 크지 않을까 생각된다.

    오늘날 지구상에 외국 기업이 전혀 투자하지 않는 나라는 북한밖에 없다. 전 세계 개도국들이 받고 있는 세계은행(IBRD)이나 아시아개발은행(ADB)의 자금지원을 받지 못하는 나라도 북한밖에 없다. 우리가 미국 일본 등을 설득해 북한도 국제개발자금을 받을 수 있도록 도와줘야 한다. 그래야 북한도 외국 기업들을 위한 인프라를 건설할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은행들까지 북한은행들과의 금융거래를 끊는 마당에 뚱딴지같은 소리로 들릴지 모르지만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장기비전과 경제협력 콘텐츠가 없으면 작동하기 어렵다.

    ‘서울프로세스’로 명명된 동북아 평화협력구상도 한반도 평화 유지와 통일기반 조성을 위해 미국만이 아니라 중국 일본 러시아 같은 주변 강대국들의 협력도 능동적으로 이끌어내겠다는 자주의지의 표현이기 때문에 의미가 크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우리는 동북아에서 군사적 균형자 역할을 할 만한 능력이 없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이 지역의 공동번영을 위해 교역과 투자, 금융협력과 교류 같은 경제 콘텐츠를 갖고 접근하는 것이다. 다른 방안은 실효성도 의문이고 관련국들의 관심도 끌기 어렵다.

    동아시아 지역은 유럽연합(EU)이나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 같은 지역경제협력체가 없는 거대 경제권이기 때문에 ‘동아시아 경제공동체’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고 가능하다. 한중일+동남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같은 지역협력회의가 해마다 열리고 있고 한중일 자유무역협정(FTA)도 추진되고 있기 때문에 그 속도를 높이고 폭을 확대하는 데 한국이 적극적 역할을 한다면 ‘동북아 평화협력프로세스’도 작동시킬 수 있을 것이다.

    북한도 동북아 경제공동체의 일원이 되면 핵을 포기하고 평화공존의 동반자로 탈바꿈할 수 있다.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은 박 대통령이 다음 달 방문하는 중국이 미국보다 더 좋은 반응을 보일 가능성이 있다. 일본은 이미 4년 전 하토야마 유키오 총리가 동아시아 경제공동체 구상을 주창한 일이 있고, 러시아도 북한을 관통하는 시베리아 가스관 개설과 극동지역개발을 위해 동북아 지역과의 경제협력을 중시하고 있어 여건이 나쁘지 않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나 동북아 평화협력구상에 담겨질 경제 콘텐츠는 처음부터 정부가 직접 나서기보다 경제협력의 실제 추진세력인 기업을 대변할 경제단체나 민간연구기관들이 앞장서는 게 바람직하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도 민간이 먼저 경제협력 콘텐츠를 만들어 국민 공감대를 이끌어내고 정부는 정경분리 입장을 유지하며 뒤에서 지원하는 게 효과적이다. 북한과의 경제협력은 공개적인 당국 간 대화로 시작하면 정치적 장애에 부딪치기 쉬우므로 막후 대화부터 시작하는 게 좋다.

    남북한 간의 대화와 신뢰를 이끌어 낼 경제협력 콘텐츠를 만들고 동북아 경제협력구상을 구체화해 관련국들과 협의해 나갈 민간전문가들의 역할이 절실한 시점이다.

    강봉균 객원논설위원 건전재정포럼대표 bkkang@kif.re.kr


  • 허영환 2013.05.18 07:25

    [준비해야 하나 된다]류우익 “한반도 통일은 미래 위한 블루오션”

    기사입력 2013-05-18 03:00:00 기사수정 2013-05-18 05:05:52

    •  

     

    18일 21세기분당포럼 초청 강연회
    “노래만 부른다고 하나가 될수있나… 통일회의론, 독립회의론과 같은 발상”


     
     
    “통일은 (한반도) 현안 해결의 열쇠이자 한반도 미래의 블루오션이다. 북한 비핵화, 북한 주민의 구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구도 정착을 위한 궁극적 해법은 통일이다.”

    류우익 전 통일부 장관(사진)은 18일 오후 3시 반 경기 성남시청에서 열릴 예정인 사단법인 21세기분당포럼(이사장 이영해 한양대 교수) 초청 강연회에서 이 같은 ‘통일준비론’을 편다.

    류 전 장관은 17일 사전 배포된 강연 요지문을 통해 “나라 안팎, 한반도의 여러 상황과 변화의 추세를 고려할 때 지금은 우리가 나서서 통일을 준비해야 할 때다. 아무 일도 하지 않고 기다리거나 노래만 불러서는 통일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우리가 앞장서 나서지 않으면 국제사회가 (통일에) 관심을 가질 이유가 없다. 시간이 흐를수록 북한 핵은 현실이 되고 분단 현상은 고착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통일세대인 청년층의 통일 의식이 둔화되고 있다”며 “통일회의론은 민족사를 외면하고 시대정신에 무지하다는 점에서 독립회의론과 맥을 같이한다”고 우려했다. 실제로 동아일보가 3월 말 창간 93주년(4월 1일)을 앞두고 실시했던 통일의식 국민여론조사에서 20대의 3명 중 1명(33%)은 ‘통일이 절대 안 될 것’이라고 대답했다. 류 전 장관은 “(통일)비용 때문에 통일을 미룬다는 것은 잘못된 논리다. 통일로 얻어지는 편익은 비용에 비할 바가 아니게 크다”고 말했다. 그는 “20년 후 통일이 된다고 볼 때 통일비용은 최소 55조 원, 최대 275조 원까지 드는 것으로 추계됐다”며 “국민에게 솔직히 알리고 미리 준비하면 (한국) 기업이 독일 통합 때의 독일 기업보다 더 큰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부형권 기자 bookum90@donga.com
  • 허영환 2013.05.18 12:38

    [오늘과 내일/방형남]‘한반도 프로세스’가 버려야 할 것들

    기사입력 2013-05-18 03:00:00 기사수정 2013-05-18 03:00:00

     방형남 논설위원 hnbhang@donga.com
     
    박근혜 대통령은 중앙언론사 정치부장들에게 방미(訪美) 성과를 설명하며 한국 안보에 대한 믿음을 준 것과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에 대해 미국의 확고한 동의와 지지를 받은 것을 앞세웠다. 개성공단 대화 제의는 성공적인 한미 정상회담을 발판 삼아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의지를 담은 첫 조치였다고 할 수 있다. 통일부가 나섰지만 실상은 박 대통령이 김정은에게 보낸 대화 제의다.

    그런데도 북한은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 대변인이 조선중앙통신사 기자의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대화 제의를 거부하며 ‘교활한 술책’이라고 비난했다. 박 대통령을 ‘남조선 당국자’로 지칭하며 “주제넘게 떠벌였다”고 막말을 퍼부었다.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은 개성공단을 담당하는 말단 조직이다. 총국의 책임자도 아닌 대변인을 남한 대통령 공격수로 내세운 북한의 속셈이 무엇일까. 북한이 이런 일을 당했다면 ‘최고 존엄 모독’이라며 길길이 뛰었을 것이다.

    개성공단은 이미 엎질러진 물이다. 북한이 잘못을 인정하고 물러서지 않는 한 원상회복은 불가능하다. 통일부가 회담 제의를 폄훼한 데 대해 북한에 유감을 표명했지만 놓친 버스를 향해 손을 흔드는 것밖에 안 된다. 북한은 “(남한의) 현 정권을 상대해야 하는지, 상대해 해결될 것이 있는지를 검토 중에 있다”며 근본적인 의문을 제기했다. 대통령이 의욕을 보이고 미국의 지지를 얻었다 해도 남북대화를 이끌어 내지 못하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작동하지 않는 것이다.

    박 대통령이 김대중 전 대통령의 ‘햇볕정책’에서 교훈을 찾았으면 한다. 햇볕정책은 과정인 첫 남북 정상회담은 성사시켰지만 목표인 남북 화해와 평화 정착에는 실패했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가 햇볕정책의 행로를 따라가지 않으려면 버려야 할 것들이 있다.

    먼저, 무오류의 함정에서 벗어나야 한다. 김 전 대통령은 자신의 창작품인 햇볕정책을 만들어진 그대로 밀어붙였다. 그는 햇볕정책에 관한 한 마치 중세시대 교황처럼 무오류권(無誤謬權)을 행사했다. 문제가 생겨도 참모들은 이의를 제기하지 못하고 햇볕정책 수호에 몸을 바쳤다. 박 대통령은 자신의 대북정책이 완벽하지 않을 수도 있다고 생각해야 한다. 문제가 드러나면 수정하는 유연성을 발휘해야 한다. 대통령이 대화 재개에 집착해 통일부를 들러리나 꼭두각시로 만들면 북한이 먼저 통일부를 우습게 본다.

    둘째, 초지일관 대신 상황 적응이 필요하다. 김 전 대통령은 북한이 세계인의 축제인 월드컵 기간에 서해 도발을 했는데도 햇볕정책을 고집했다. 남북 관계는 북한이라는 상대가 있기 때문에 우리 뜻대로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만들어 놓은 틀에 상황을 억지로 맞추면 결과는 낭패다. 박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아시아에서 긴장과 갈등을 완화하고 평화와 협력이 더욱 확산될 수 있도록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역내 국가들과 더욱 돈독한 신뢰를 쌓을 것”이라고 다짐했지만 일본 아베 정권의 역주행에 강경하게 대응하고 있다. 외교부 장관의 방일을 취소하고 이달 말 서울에서 열릴 예정이던 한중일 정상회의도 포기했다. 상황에 따른 변화다. 일본에 한 일을 북한에 못할 이유가 없다.

    셋째, 막히면 돌아가야 한다. 김 전 대통령은 여론의 반대를 무시하고 대북(對北) 퍼 주기를 계속했다. 박 대통령이 주도한 대화 제의는 세 차례나 거부됐다. 북한의 반발을 예측하지 못해 헛발질을 계속하면 국민의 신뢰도 떨어진다. 이제는 다른 방법을 찾아야 한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는 신뢰를 만들어 가는 과정이다. 최소한 5년을 내다보는 장기 목표이기에 실망할 단계는 아니다. 그러나 과정으로서의 ‘프로세스’가 성공하려면 도중에 ‘프로그레스(진전)’가 쌓여야 한다. 조금도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면서 프로세스만 강조하면 공허한 외침이 될 수밖에 없다.

    방형남 논설위원 hnbhang@donga.com
  • 허영환 2013.05.18 21:31
    [국제] 파워인터뷰 게재 일자 : 2013년 05월 16일(木)
    “아직 결정하긴 이르지만… 전작권 전환 유예 가능한 일”
    에드윈 퓰너/美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

    5·7 한·미 정상회담의 성과가 윤창중 전 청와대 대변인 성추행 의혹 파문으로 인해 국내에선 빛이 바랜 듯한 인상이지만 워싱턴 외교가에선 이번 박근혜 -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한·미 정상회담이 기대 이상의 성과를 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박 대통령의 기품 있는 외교 스타일에 오바마 대통령 특유의 배려와 경청의 자세가 어우러지면서 근래에 보기 드문 성공적 회동이 됐다는 평이다. 워싱턴의 대표적 아시아통 원로로 꼽히는 헤리티지재단의 에드윈 퓰너(72) 아시아연구센터 회장을 만나 박근혜 - 오바마 시대 한·미 관계와 동북아 정세에 대해 얘기를 나눴다. 퓰너 회장은 지난 4월 3일 헤리티지재단 이사장에서 물러난 뒤 이 재단 산하의 아시아연구센터를 이끌고 있는데, 아산정책연구원(원장 함재봉)의 ‘아산 플래넘 2013’ 참석 차 서울을 찾았다. 첫 인터뷰는 아산 플래넘 기간(4월 30일∼5월 1일) 중 이뤄졌고, 이메일 인터뷰는 한·미 정상회담 후 14일 진행됐다.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첫 정상회담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박 대통령과 오바마 대통령의 첫 회동의 반향이 대단합니다. 이번 정상회담의 중요한 목표 중의 하나는 앞으로 5년 한국을 이끌 박 대통령과 미국을 4년 더 이끄는 오바마 대통령 간의 강력한 신뢰기반을 형성하는 것이었는데 아주 성공적이었다고 봅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번 회담을 통해 이명박 전 대통령과 맺었던 수준의 탄탄한 신뢰관계를 박 대통령과도 형성하게 됐습니다.”

    ―이번 정상회담의 성과를 얘기하신다면.

    “60주년을 맞는 한·미 동맹을 기념하면서 박 대통령은 한국전 참전 미국군인들에게 예를 갖춰 감사를 표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국이 앞으로도 한국의 강력한 동맹국으로 남을 것이며, 북한의 위협에 대해 필요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대응할 것임을 다짐했습니다. 이와 함께 한·미 양국이 현시점에서 어떤 대북정책을 취할 것인지에 대해 공동의 입장을 세운 것은 큰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한국의 첫 여성 지도자로서 박 대통령이 보여준 외교 스타일에 대한 워싱턴 외교가의 평가는 어떻습니까.

    “박 대통령은 워싱턴 정가 및 외교가에 아주 잘 알려져 있고 많은 존경을 받는 분입니다. 박 대통령은 특히 이번 워싱턴 방문을 통해 한국을 이끄는 강력한 지도자로서의 이미지를 선보였습니다. 그는 정상회담을 비롯해 의회 연설 등을 통해 한·미 양국의 군사적 경제적 외교적 관계의 중요성을 설득력 있게 설명했습니다. 더욱이 동북아의 안보환경 속에서 한국이 대북, 대중 정책을 펴는 데 있어 한·미 협력을 근간으로 할 것임을 강조한 것은 의미가 있다고 봅니다.”

    ―박 대통령이 이번 방미 기간 중 한반도 신뢰프로세스를 강조했는데 이에 대한 워싱턴의 기류는 어떤가요?

    “나는 박 대통령의 신뢰프로세스가 상당히 실용적인 정책이라고 생각합니다. 신뢰프로세스를 말하면서도 북한과 관계를 형성하기 위한 기반은 무엇보다도 북한의 위협을 막을 수 있는 강력한 억지력이라는 점을 얘기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윤 전 대변인 파문으로 인해 국내 정국이 시끄러운데, 한·미 정상회담의 후속조치로서 박 대통령이 취해야 할 정책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우선 박 대통령은 평양에 대화를 제안해야 합니다. 물론 북한이 호전적 자세를 보이고 있어 대화의 문이 열릴 것이라고 낙관하기는 힘든 상태입니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그런 대화제안을 함으로써 한국이 북한의 위협을 넘어서서 점점 더 국제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여줘야 합니다. 한국은 작은 나라지만 세계무대에서는 큰 역할을 할 수 있고, 이미 상당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이 같은 일을 수행하기 위해선 국방개혁 및 경제규제완화를 통해 안보역량을 강화하고 경제를 활성화하는 정책을 지속해야 할 것으로 봅니다.”

    ―지난 2월 박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했는데, 박 대통령과 특별한 인연이 있으신지요?

    “박 대통령은 나의 롱 타임 프렌드입니다. 아주 오래전부터 알고 지냈죠. 그리고 2001년 박 대통령이 당시 의원 자격으로 조지 W 부시 대통령 취임식에 참석 차 워싱턴에 왔을 때 헤리티지재단을 방문했고, 알렉산드리아에 있는 우리 집에도 왔습니다.”

    ―언제부터 박 대통령과 친구로 지내셨는지요?

    “1970년대 말 박정희 당시 대통령 별세 전부터라고 생각합니다.”

    ―2008년 1월 방한 때엔 이명박 당시 대통령 당선인에게 1시간 특강을 한 것으로 아는데 박 대통령 취임 전에도 특강을 하셨나요?

    “박 대통령에게는 그런 기회를 갖지 않았습니다. 다만 주변 참모들에게 한·미 양국을 위해 어떤 정책을 펴는 게 좋은가 등에 대해선 얘기했습니다. 박 대통령 주변에 좋은 조언자들이 많으니 내가 지금 특별히 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박근혜 시대 한국에 드리워진 도전은 무엇일까요?

    “박근혜정부의 큰 도전은 경제적 성장을 어떻게 유지해나갈 것인가가 과제가 될 것입니다. 또 하나는 미국과의 동맹을 강화하면서 일본 등과의 관계를 강화해 지역 안정과 평화를 유지해나가는 것입니다. 이 같은 과제는 한·미 동맹 관계를 긴밀하게 유지해나가는 것을 통해 이뤄나갈 수 있다고 봅니다.”

    ―미국 측에서는 한·일 관계 강화의 필요성을 많이 얘기하는데, 한·일 관계는 아주 긴장된 상태여서 좀처럼 개선될 가능성이 없어 보입니다.

    “한·일 관계는 늘 기복이 있어왔기 때문에 그것을 잘 관리해나가는 지혜가 필요합니다. 글로벌 세상에서 제기되는 아주 큰 도전을 이겨나가려면 한국과 일본이 관계를 강화해나가는 게 중요합니다.”

    ―한·일 관계는 과거 정권을 볼 때 한국의 정권 초기에는 좋은 관계를 유지하다가 말기에 관계가 악화되는 악순환이 반복됐는데 박근혜 시대에는 나쁘게 시작돼 더 힘들 것 같다는 관측이 지배적인데.

    “한·일 관계가 발전할 여지는 상당합니다. 미국은 한·일 간에 슬픈 역사가 있다는 사실을 잘 알고 있습니다. 미국도 2차대전 후 일본과 어려운 역사를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한국과 미국, 일본은 아주 성숙된 민주주의 국가로서 국민들이 투표를 통해 자국의 정부를 선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한·일 관계의 어려움을 얘기할 때 미국은 늘 보편주의적 입장에서 한·일 양국이 민주주의 시장경제 국가이니 가까워질 요소가 많다는 식으로 얘기하는데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 등 일본 지도자들은 한국을 그런 전략적 측면에서 접근하지 않고 늘 자국 중심적으로만 생각하는 것 같아 유감입니다만.

    “모든 국가지도자들은 국내 정치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아베 총리의 경우 오는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그의 정치적 역량을 키우기 위해 요즘 많은 얘기를 하고 있습니다. 오바마 대통령도 마찬가지입니다. 대통령의 정치력 확장을 위해 발언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일인데, 그런 것에 대해 낱낱이 반응하기보다 모든 민주주의 국가들은 그런 국내 정치적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이해하는 게 필요하다고 봅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잊지 말아야 할 것은 한·미·일 3국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많은 공통점이 있고 서로 긴밀히 연결돼 있기 때문에 공동으로 해야 할 일이 많다는 것입니다. 경제적으로 군사적으로 문화적으로 특히 그렇습니다. 한국 친구들에게 진심으로 말하고 싶습니다. 때때로 일본과의 관계가 어렵지만 그래도 미래를 보고 나가려는 자세가 필요합니다. 미국도 한·일 관계가 어렵다는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나는 타고난 낙관주의자입니다. 나는 궁극적으로 늘 열심히 긍정적이고, 건설적으로 노력하면 좋아질 것이라는 낙관론을 갖고 있는데 한·일 관계도 그럴 것이라고 봅니다.”

    ―그래도 일본 아베 정권의 우경화와 과거사 부정기류는 과거에 비해 좀 심한 듯합니다.

    “다시 말하지만 모든 국가 관계에는 부침이 있습니다. 그들이(아베 정권이) 트랙 밖으로 벗어난 것 아니냐는 느낌을 줄 때도 물론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러다가 다시 정상으로 돌아가기도 합니다. 요즘엔 그들이 정상궤도를 유지하도록 만드는 노력이 좀 더 필요한 시점입니다.”

    ―아베 총리의 과거사 부정 행보를 미국이 방치할 경우 결국엔 과거사 이슈가 한·일 관계를 넘어 미·일 관계로까지 불거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도 있는데.

    “모든 게 늘 변화하고 이해관계나 상호관계도 늘 변화합니다. 아베 총리가 최근 모스크바를 방문해 일·러 양국이 협력해 동북아에서 안정을 이뤄나가자는 얘기를 하더군요. 그것은 결국 일본이 러시아를 끌어들여 중국을 포위하려는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갖게 합니다. 다시 말씀드리지만 일본은 성숙한 민주주의 국가입니다. 그러니 미국과 일본은 민주주의 국가로서 상호 공통점을 강조하면서 그런 어려움을 극복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차이점을 강조하기보다 공통점을 강조하면서 협의를 해나가는 자세가 중요합니다.”

    ―최근 들어 북한과 중국 관계가 예전 같지 않다는 얘기가 나오면서 중국의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에 대한 논의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시진핑(習近平) 시대 중국이 대북접근법이나 대북정책을 바꿀 수 있다고 봅니다. 나는 이 가능성을 아주 오래전부터 주장해왔습니다. 중국은 북한에 식량이나 에너지를 제공해왔는데 앞으로 중국의 대북접근법이 바뀔 경우 북한에도 큰 변화를 가져올 수 있을 것입니다. 미국은 그간 북한에 대해 제재를 강화해왔는데, 여기에 중국을 끌어들이는 게 중요합니다. 중국과 협력해 북한에 압박을 가하고 제재를 시행하며 변화를 하도록 만드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중국은 자국의 이해관계가 늘 우선입니다. 중국은 동북아 구도상 서울이나 도쿄(東京), 대만에 핵이 있는 것을 원치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은 중국의 그런 점을 잘 파악해서 북한에 대한 정책 협력을 해나갈 필요가 있습니다. 중국이 대북정책면에서 실망스러운 측면을 보인다고 해도 지속적으로 얘기해나가면서 협력의 틀을 모색하려는 노력을 해야 합니다.”

    ―오바마 행정부가 2기 들어서면서 아시아 중시 외교정책을 강조하고 있는 데 대해 어떻게 평가하시는지요.

    “오바마 행정부에서 리밸런싱 아시아, 피벗 투 아시아를 얘기하는 것은 아주 의미심장합니다. 오바마 1기 행정부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과 커트 캠벨 전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리밸런싱 아시아 개념을 통해 아시아의 전략적 중요성을 얘기한 것에 대해 전적으로 공감합니다. 민주당, 공화당을 떠나 초당파적으로 중요한 메시지입니다. 미국에 아시아 전략은 아주 중요합니다. 21세기 글로벌 시대로 접어들면서 아시아의 중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미국의 향후 무역이나 외교에서는 물론 국제전략 측면에서도 아시아의 중요성은 점점 커질 것입니다.”

    ―오바마 대통령의 아시아로의 중심축 이동정책을 적극 지지한다는 말씀인가요?

    “민주당이냐 공화당이냐는 당파적 입장을 넘어서서 보수냐 진보냐는 이념적 차이를 넘어서서 아시아 중심주의 정책은 미국의 미래와 관련해 아주 중요하다는 것입니다. 헤리티지재단은 보수주의를 견지하는 싱크탱크로서 아시아가 중요하다는 것을 이미 30년 전부터 주장해왔습니다. 우리는 이미 1982년 아시아연구센터를 만들어 아시아 연구를 해왔고, 워싱턴의 싱크탱크 중에서는 아시아에 대해서 가장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내가 헤리티지재단 이사장에서 물러나 아시아연구센터 회장으로서 일하게 된 것이 아주 행복합니다.”

    ―오바마 1기 외교수장인 클린턴 전 국무장관은 임명 후 아시아를 첫 방문지로 택할 정도로 관심을 보인 반면, 2기 수장인 존 케리 국무장관은 중동 및 유럽 쪽에 더 관심을 갖고 있는 듯한데, 한국은 케리 시대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케리 국무장관은 클린턴 전 장관만큼이나 한국을 잘 알고 있으며 한국의 중요성, 한·미 동맹의 의미에 대해서도 잘 파악하고 있습니다. 케리 국무장관은 오래 상원 외교위원장으로 활동하며 외교안보문제 전반에 대해 폭넓은 식견을 갖고 있고 한반도 문제에 대해서도 많은 관심을 갖고 있습니다. 케리 국무장관이 상원외교위원장을 할 때부터 내가 지켜봤기 때문에 잘 압니다. 케리 국무장관을 비롯한 국무부 인사들은 한반도 문제를 아주 핵심적이고 중요한 관심사 중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있으며 그렇게 접근해나갈 것으로 생각합니다. 그런 만큼 케리 국무장관에 대해 큰 기대를 갖고 있습니다.”

    ―올해가 한·미 동맹 60주년인데, 한·미 관계 발전을 위해 양국이 어떤 노력을 해나가야 한다고 보십니까.

    “어떤 역사적 계기가 있을 때 관계에 새롭게 관심을 갖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런 오랜 역사성을 기반으로 해서 양국이 동맹관계 및 양국 간 민간교류를 잘 관리하고 발전시켜 나가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한국과 미국은 한국전쟁과 베트남전에서 함께 피를 흘렸고 아프가니스탄, 이라크전쟁에서도 함께했습니다. 워싱턴에서는 때때로 아주 긴박하고(urgent) 중요한 게 당연한 것으로 치부되는 경향이 있는데 한·미 관계도 그중의 하나가 아닐까 합니다. 일부 인사들은 한·미 관계를 당연히 주어지는 것으로 생각하는데 그렇지 않습니다. 관계란 서로 노력하면서 만들어가는 것입니다. 사람 사이에서도 그렇고 국가 사이에서도 마찬가지입니다.”

    ―정몽준 전 새누리당 대표가 북핵위협이 점증하는 상황인 만큼 전술핵을 한반도에 재배치하고 전시작전권 전환도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을 공론화하고 있는데 이에 대해 어떻게 보십니까?

    “전술핵 재반입을 검토해야 하고 전작권 전환도 재검토해야 한다는 문제제기에 대해 한·미 양국 차원에서 건강하고 건설적인 협의가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한·미 관계가 동등한 관계라고 할 때 동맹의 핵심이슈가 제기됐을 때 동등한 상태에서 협의가 돼야 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전작권 전환 문제의 경우 미국은 우방국인 한국 측과 책임을 공유하는 문제에 대해 협의를 할 의지가 있으며 현 국면에서 그 결정은 번복(reverse)될 수 있다고 봅니다. 전작권 문제는 한·미 간에 아주 핵심적인 이슈였는데 미국과 한국은 신뢰를 바탕으로 해서 오랜 협상을 해왔습니다. 내가 몇 년 전 비무장지대(DMZ)에 간적이 있는데 그곳은 자유의 최전선이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미국은 아시아에 존재해 있는(resident) 파워이고 여기에 지속적으로, 영속적으로 있으면서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와 안정을 위한 책임을 다할 것입니다.”

    ‘전작권 전환 유예가 가능하다’고 말한 것이 좀 미묘하게 비춰질 수 있다고 생각했는지 퓰너 회장은 이메일 인터뷰 때 다음과 같이 추가적인 의견을 보냈다.

    “한국은 2015년 전작권 전환을 위한 군사적 능력을 갖추는 데 집중하고 있고 미국 또한 이 목표를 실행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현재 전환을 위한 양국의 작업은 정상적으로 진행 중입니다. 현시점에서 전작권 전환 유예 결정을 내리는 것은 너무 이른 감이 있습니다. 다만 한·미 양국은 전작권 전환이 양국 동맹관계에 있어 최선의 결과를 가져오는 조건에서 이뤄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해왔다는 점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이명박 시대의 유산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이명박 시대 한국경제는 성장을 지속했고 평화가 유지됐습니다. 북한이 천안함 폭침, 연평도 포격 등 도발행위를 지속했음에도 불구하고 이 전 대통령이 아주 강력한 리더십으로 한국을 이끌었다는 점을 높이 평가하고 싶습니다. 그의 집권기에 한국은 다른 나라들보다 빨리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했으며 글로벌 무대의 주도적 플레이어로 부상했습니다. 아산정책연구원의 경우 이명박 집권기에 만들어져 5년 만에 아주 중요한 싱크탱크로 성장했는데 이 연구원을 볼 때마다 이게 바로 한국스타일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모든 게 빠르게 변화하고 긍정적으로 발전한 것이 바로 이명박 시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박 대통령이 성공한 대통령이 되기 위해 어디에 집중해야 한다고 보십니까.

    “모든 한국의 리더들은 우선적으로 북한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확고한 생각을 갖고 있어야 합니다. 남북 관계를 어떻게 가져갈 것인가에 대한 구상이 있어야 합니다. 이와 함께 한국이 미국의 동맹 파트너로서 글로벌 세계 및 동북아 지역에서 어떻게 역할을 강화해나가야 할지에 대한 구상이 필요합니다. 이 과정에서 한·일 관계를 좀 더 강건하게 이끌어가려는 노력도 필요합니다.”

    ―박 대통령은 중국에 대해 어떻게 접근하는 게 좋을까요.

    “한국의 친구들을 만날 때마다 제가 하는 얘기가 있습니다. 한국과 미국, 일본 세 나라가 관계를 강화해나가야 한다는 것입니다. 21세기에 들어선 뒤 중국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지만 중국은 때때로 좋은 일도 하고 나쁜 일도 합니다. 그러니 한국에는 한·미·중 협력보다 한·미·일 협력이 더 긴요하다고 봅니다. 한·일 간에 역사 문제 등 갈등이 있지만 미래지향적인 관점에서 한·미·일 협력을 강화시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토머스 프리드먼 뉴욕타임스 칼럼니스트와 마이클 맨들바움 존스홉킨스대 교수는 최근 저서 ‘미국 쇠망론(That Used to Be Us)’에서 미국의 쇠퇴를 예측했는데 미국의 미래에 대해선 어떻게 전망하시나요.

    “나는 미국에 대해선 낙관적입니다. 다만 오바마 대통령이 나쁜 방향으로 가고 있다는 점에서 우려스럽습니다. 그의 정책은 정부의 개입을 강화하고 개인의 자유주의를 제한하는 것이어서 문제입니다. 헤리티지재단의 이념이기도 하지만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좀 더 많은 자유입니다.”

    인터뷰 = 이미숙 국제부장 musel@munhwa.com
     
    ▲ 에드윈 퓰너 헤리티지재단 아시아연구센터 회장은 지난 4월 30일 아산 플래넘 2013 회의장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한국은 작은 나라지만 이미 세계무대에서 거대한 역할을 해오고 있다”면서 “한국은 미국의 동맹 파트너로서 동북아 지역에서 어떻게 역할을 확대할 것인지를 생각하면서 한·일 관계에 접근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김연수 선임기자 nyskim@munhwa.com
  • 허영환 2013.05.20 08:31
    [북한 핵문제와 중국의 한반도 정책 ] 심포지엄 

    "시진핑 속은 네모 겉은 둥글 공격적 상대엔 절대 안 굽혀 박 대통령 방중 때 고려를"

    [중앙일보] 입력 2013.05.20 00:22 / 수정 2013.05.20 01:04

    서울 온 덩위원 중국 중앙당교 기관지 전 부편집장

    한국 방문이 처음이라는 덩위원은 중국의 개혁과 사회변화를 주로 연구하지만 외교에도 관심이 많아 북핵 등 북한 문제에 관심을 갖게 됐다고 말했다. [강정현 기자]

    중국공산당 중앙당교의 기관지인 학습시보의 전 부편집장 덩위원(鄧聿文·45)은 ‘귀에 거슬리는 말을 한다(講逆耳之言)’가 좌우명이라 했다. 그의 소개에 ‘전(前)’이 붙는 건 중국 정부의 눈에 거슬리는 글을 2월 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에 기고했다가 직장에서 해고됐기 때문이다. 당시 그는 ‘중국은 북한을 버려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썼다. 직장을 잃었지만 그는 “앞으로 글을 써 생활할 것”이라며 꿋꿋했다. 신문명정책연구원(대표 장기표) 등의 초청으로 21일 오후 서울 정동 프란치스꼬회관에서 열리는 ‘북한 핵문제와 중국의 한반도정책’ 심포지엄에 참석하기 위해 한국을 찾은 그를 중앙일보 7층 회의실에서 만났다.

    -김정은이 북한 지도자가 된 지 1년이 넘도록 중국을 방문하지 않고 있다.

     “중국이 거절하기 때문이다. 중국은 김정은이 핵을 버리라는 중국의 충고를 듣지 않는 한 그의 방중이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본다. 방중을 허용하면 북한을 지원한다는 나쁜 인상만 줄 뿐이다.”

    중국·북한, 서로 배신할 것이라 의심

    -현재의 북·중 관계를 어떻게 평가하나.

     “중·북 간 서로의 발전 방향이 달라 상호 의심하는 구조적 문제가 존재한다. 중국은 국제사회에 편입돼 있지만 북한은 세습정치를 위해 고립돼 있다. 북한은 중국이 결정적 순간에 미국과 타협해 북한을 버릴 것으로 본다. 반면 중국은 북한이 정권의 생존을 위해 중국을 배신하고 미국을 택할 것이라 생각한다. 중·북 간 불신이 중·미 간, 심지어 중·일 간 불신보다 크다.”

     -중국은 최근 북한 선박에 대한 검색 강화 등 유엔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고 있다.

     “두 가지 이유가 있다. 하나는 북한의 3차 핵실험이 중국 인내의 한계를 넘었기 때문이다. 다른 하나는 중국이 미국으로부터 모종의 보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핵을 미끼로 미국과 대화해 미국 품에 안기려 해도 미국이 거절하는 것으로 합의를 본 모양새다.”

     -중국은 북한이 미국 편에 설까 걱정하지 않나.

     “우려할 필요 없다. 미국이 받아줄 가능성이 낮다. 미국이 북한을 이용해 중국을 포위하는 전략을 취한다면 중국의 강한 보복을 살 것이다. 미국 입장에선 소탐대실이다. 또 미국이 북한의 독재정권을 받아들이라고 어떻게 국민을 설득할 수 있겠나. 게다가 북한은 파산한 정권이라 그 정권 지탱에 엄청난 돈이 들 것이다.”

      -중국의 대북정책은 북한과 북핵 문제를 분리해 처리한다는 것이다. 경제와 안보 등 북한 문제가 해결되면 북한이 핵을 버릴 것이란 생각에서다. 이런 중국의 대북정책에 근본적인 변화가 있는가.

     “아직 근본적으로 변한 건 아니지만 바뀔 가능성은 있다. 이제까지 중국의 대북정책은 중의(中醫) 처방과 같다. 시간을 길게 보며 병의 뿌리를 뽑자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의 제재 동참은 양의(洋醫) 처방과 같은 대증적인 요법이다. 북한이 사고를 치니 우선 이 악질부터 고치자는 것이다. 중국은 현재 중의를 원칙으로 하되 양의를 보조적으로 활용하고 있지만 만일 북한이 4차 핵실험 등을 하면 양의 방법이 주가 될 것이다.”

     -중국이 북한에 지원하는 식량과 원유를 끊으면 북한 문제가 간단하게 해결되지 않겠나.

     “중국 학자 중에는 아직도 북한을 지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더 많다. 크게 두 가지 이유다. 우선 미국의 아시아 개입 등을 견제하려는 전략적 고려에서다. 다음은 북한이 갑작스레 붕괴되면 한국은 물론 중국 등 주변국 모두에 부담이 되기 때문이다.”

    중·조 동맹조약 정지 등 신호 보내야

     -북한이 중국처럼 개혁·개방할 가능성이 있나.

     “희박하다. 핵을 포기하지 않으면 국제사회의 도움을 받을 수 없어 개방을 할 수 없다. 핵을 포기하고 개혁·개방에 나서도 힘들다. 북한은 오랫동안 선군(先軍)정치를 해와 군부가 최대 이익집단이다. 개혁은 군부의 이익을 위협해 김정은에 대한 군의 충성을 약화시킨다. 군의 충성을 유지하면서 개혁하려면 군대를 부패시켜야 한다. 중국의 개혁 초기와 같다. 그러나 이는 군의 전투력을 저하시킬 것이다. 또 중국은 인터넷이 발전하지 않은 과거에도 1989년의 대규모 시위(천안문 사태)를 겪었다. 북한이 개방하면 큰 시위에 부딪힐 것이다.”

     -한반도 통일이 한국 주도로 이뤄져야 한다고 생각하나.

     “북한정권은 실패한 정권으로 곧 붕괴될 것이다. 중국은 주동적으로 한국과 협력해 한반도의 통일을 촉진시켜야 한다. 네 가지 이점이 있다. 첫째는 한국을 도움으로써 통일 후 한국민으로부터 적대(敵對)를 받지 않아 중국의 한반도 내 이익을 지킬 수 있다. 둘째는 한·미·일의 전략동맹을 와해시키는 데 유리하다. 셋째는 중국이 장기간 북한을 지지해 왔다는 좋지 못한 국가 이미지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끝으로 이제까지 중국은 북한정권을 지탱해 주느라 천문학적인 돈을 쏟아부었는데 통일되면 그럴 필요가 없지 않은가.”

     -중국이 한반도 통일을 위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적인 국가 간의 관계로 바꿔야 한다. 동맹 성질의 국가관계를 가져선 안 된다. 이것이 내가 말하는 북한을 버리라는 진정한 함의다. 북한을 포기하라는 것은 북한을 몰라라 하는 게 아니고 정상적 수준을 뛰어넘는 원래의 초국가관계를 정상 국가 간의 관계로 돌려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은 중·조 우호동맹조약 중지 등과 같은 신호를 북한에 보내야 한다.”

     -한반도 통일은 주변국 입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가장 좋은 건 중국이 한·미와 비밀 담판을 하는 것이다. 조건은 통일 후 한반도는 무핵화(無核化), 주한미군 철수 등이다. 또 북한정권의 저항을 줄이기 위해 김씨 가족과 지도부가 원한다면 중국 망명을 보장하는 것이다.”

    한국 북핵 해법, 중국에 좋은 점 설명을

     -박근혜 대통령이 다음 달 방중할 예정이다. 시진핑과의 만남에서 북핵 해법에 대해 어떤 논리로 말하는 게 효과적인가.

     “한국의 북핵 해법이 한국에도 좋지만 중국엔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를 잘 설명해야 한다. 시진핑의 개성이 부드러운 상대에겐 부드럽지만 공격적으로 나오는 상대에겐 절대 굴복하지 않는다(吃軟 不吃硬)는 점을 염두에 두면 좋을 것이다.”

     -시진핑이 중앙당교 교장을 5년 했으니 그와 접촉할 기회가 많았을 것 같다.

     “그는 속은 네모처럼 엄격하지만 겉은 동그라미처럼 부드러운(內方外圓) 사람이다. 원칙이 있지만 일 처리는 상황에 따라 아주 능란하다는 것이다. 그는 자기 생각이 분명한 사람이다. 과거 중앙당교에서의 20~30차례에 걸친 연설을 매번 주제를 달리해 자기 생각을 피력했다.”

    글=유상철 중국전문기자
    사진=강정현 기자
  • 허영환 2013.05.20 08:39
     

    [중앙시평] 한·중 정상회담 성공의 열쇠

    [중앙일보] 입력 2013.05.20 00:20 / 수정 2013.05.20 00:20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이 6월 중순으로 예정돼 있다. 60명이 넘는 태스크포스팀이 시진핑 국가주석과의 정상회담을 준비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린다. 한반도는 물론 동북아, 나아가 세계무대 전체에서 점차 커지고 있는 중국의 영향력을 감안하면 철저한 준비는 당연하고도 바람직한 일이다. 박 대통령이 미·중 G2 구도하에서 이른바 균형외교를 펴겠다고 다짐한 바 있는 까닭에, 중국 역시 이번 방문에 큰 기대를 걸고 있다.

     성공적인 정상회담을 위해 무엇을 준비해야 하는가. 먼저 이명박정부의 사례를 반면교사(反面敎師)로 삼을 필요가 있다. 지난 정부 기간 한·중 관계는 천안함 사건과 연평도 포격 사건에서 볼 수 있었듯 바닥을 쳤다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북한 ‘조기 붕괴론’에 기초한 대북 강경정책과 성급한 급변사태 논의가 중국의 강력한 반발을 가져왔을뿐더러 ‘가치동맹’이라는 기치하에 한·미·일 3국 군사공조를 강화하는 움직임도 베이징을 자극하기에 충분했다. ‘비핵 개방 3000’ 제안으로 6자회담을 무력화시킨 것도 악재였다. 중국과 북한의 결속을 간과하고 미국을 갑, 중국을 을로 보는 미국 지상주의의 함정에 빠져 있는 동안, 한·중 관계는 급격히 악화된 셈이다.

     그리고 아전인수(我田引水)의 우(愚)를 피해야 한다. 최근 중국의 대북정책이 변화하고 있다는 주장이 여기저기서 대두된다. 언론에서는 몇몇 중국 측 인사들의 발언을 인용하며 ‘중국은 북한의 평화적 붕괴를 용인할 준비가 되어 있다’거나 ‘중국이 남에 의한 북의 흡수통일 거론한다’는 선정적인 보도를 쏟아낸다. 과연 이러한 주장을 신뢰할 수 있을까. 북한을 지정학적 관점에서 보는 중국 지도부의 기존 스탠스에는 변함이 없어 보인다. 미국이 대중 견제정책을 견지하는 한 베이징이 북한을 포기할 가능성은 높지 않다는 뜻이다. 물론 3차 핵실험 이후 중국이 북한에 대해 보다 엄격해진 것은 사실이나 단시일 내 대북정책의 대폭적 조정을 기대하기 어렵다. 그래서 중국의 대북 정책 관련 ‘약탕관은 바꾸었을지 몰라도 약은 바뀌지 않았다(換湯不換藥)’는 중국의 한 북한 전문가의 비유가 설득력 있게 들리는지 모른다. 이걸 알고 정상회담에 임해야 할 것이다.

     중국 정부는 동북아 평화협력을 위한 박근혜정부의 ‘서울 프로세스’에 강한 공감을 표한 바 있다. 비전통적 안보분야에서 신뢰를 우선 구축하고 이를 전통적인 안보분야까지 확대해 나가자는 박 대통령의 구상에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시진핑 주석의 접근은 동맹을 뛰어넘는 집단안전보장체제에 철학적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4월 보아오 포럼에서 시 주석이 강조했던 ‘종합안전, 공동안전, 협력안전’이라는 다자안보협력구상에서 명확히 드러난다.

     반면 박 대통령의 기본인식은 동맹에 있다. 한·미 관계를 ‘포괄적 전략동맹’과 ‘아태지역 평화와 안정의 린치핀’으로 격상하고, 한·미 미사일 연합방위체제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박 대통령의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은 자칫 한·미 동맹의 하위개념에 불과하다고 인식되기 쉽다. 차제에 한국과 중국의 다름을 억지로 조화시키려 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그 차이점을 명확히 하고 그 안에서 협력을 모색하는 화이부동(和而不同)의 자세가 순리일 것이다.

     베이징이 박 대통령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에 큰 기대를 거는 이유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북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높이 사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지난번 한·미 정상회담 과정에서 대북 억지와 압박에 방점을 두었고 오바마 대통령은 이를 흔쾌히 지지했던 것이다. 북한에 올바른 선택을 요구하며 ‘나쁜 태도에는 보상 없다’는 발언을 남긴 것이 대표적이다. 이번 방중 기간에는 대화와 협상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예컨대 개성공단이나 금강산 관광사업 재개에 대한 건설적 대안, 혹은 6자회담 재개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두 나라 사이의 협력방안 등을 구체적으로 제시해야만 의미 있는 정상회담이 가능할 것이다.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한·중·미 3자 전략대화 구상 제의 같은 설익은 행보는 자칫 욕속부달(欲速不達)의 역풍을 자초할 수 있다.

     중국과의 비즈니스에서 ‘관시(關係)’와 배경은 중요한 자산이다. 시진핑 주석과 오랜 인연을 맺어온 데다 유력한 정치가문 출신인 박 대통령은 분명 유리한 고지에 서 있다. 그러나 지도자 사이의 유대보다 중요한 것이 국익이다. ‘관시’가 국익보다 우선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이렇게 놓고 보면 이번 정상회담을 성공으로 이끄는 열쇠는 두 나라 국익이 수렴하는 지점을 정확히 짚어내는 것이고, 그 들머리에는 남북관계 개선이 자리하고 있다는 게 필자의 판단이다.

    문 정 인 연세대 교수·정치외교학
  • 허영환 2013.05.20 12:32

    [이하원의 동서남북] '철(鐵)의 여인', 외교에서 기회 잡아라

  • 이하원 정치부 차장

 

입력 : 2013.05.19 23:05 | 수정 : 2013.05.20 02:12

<style>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style>
<style> /*기사 본문 유형별 포토 팝업 탭 div*/ 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e/2012/type_mov_onoff.png) no-repeat 0px 0px; } a.pop_btn_mov:hover { background-position: 0px -98px;} a.pop_btn_mov img {display:none;} </style>
 
이하원 정치부 차장
국제적으로 영향력이 큰 매체 중에서 박근혜 대통령을 '철의 여인(Iron Lady)'이라고 부른 것은 인터내셔널 헤럴드 트리뷴(IHT)이 처음이었다. IHT는 지난달 박 대통령의 인생 역정(歷程)과 원칙 위주의 대북(對北) 정책을 소개하면서 그를 '철의 여인'으로 호칭했다. 공산주의 진영과 좌편향 노조에 단호한 입장을 취했던 고(故) 마거릿 대처 영국 총리의 별명을 박 대통령에게 사용한 것이다.

그 후 지난 7일의 한·미(韓·美) 정상회담을 거치면서 외국 언론이 박 대통령을 철의 여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미국의 CBS 방송은 "박 대통령의 강한 스타일이 '아시아의 철의 여인'이라는 별명을 얻게 했다"고 했다. CNN, NBC방송도 이런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프랑스의 주간지인 '누벨 옵세르바퇴르'는 그에게 '철의 처녀(Vierge de Fer)'라는 별칭을 만들어줬다.

이런 현상은 한국에서는 잘 인식하지 못하지만, 박 대통령이 아시아에서 '상품성' 있는 여성 지도자로 부상중임을 시사한다. 국제사회에서 동아시아는 여전히 남성 정치인들이 지배하는 영역이다. 이런 곳에서 여성이 대통령에 당선(當選)된 것을 일종의 '사건'으로 국제사회는 보고 있다. 그가 개성공단 문제를 처리하면서 김정은 북한 정권의 협박에 흔들리지 않고 '단호한 리더십'을 보인 것은 눈에 띌 수밖에 없다.

국제사회가 그를 대처 총리에 비유해가며 부각시키는 배경에는 미·중 간의 세력 변화가 진행 중이며 상호 불신(不信)이 커지는 동북아시아의 특수성이 자리 잡고 있다.

중동을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해결해야 할 문제가 쌓여 있는 미국은 박 대통령이 리더십을 발휘해주기를 바라고 있다. 중국은 한국을 중국 쪽으로 끌어당기고, 한반도를 미국과의 대치를 중화하는 완충지대로 만드는 방안을 강구 중이다.

이 같은 상황은 박 대통령에겐 다시 만나기 어려운 '외교적 기회(機會)'를 제공하고 있다. 서진영 고려대 명예교수의 표현대로 미국에서 중국으로의 세력전이(勢力轉移) 상황은 굉장히 위험하지만, 우리에겐 기회가 될 수도 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에 이어 하시모토 도루(橋下徹) 오사카 시장 등의 망언으로 일본 정치권이 다른 나라의 신뢰를 잃는 것도 박 대통령의 역할을 주목하게 만들고 있다.

박 대통령이 이 기회를 살려서 임기 후반부에도 '철의 여인'으로 평가받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 '동북아 평화 협력 구상(서울 프로세스)'을 더 정교하게 다듬어야 한다. 박 대통령이 임기 초반에 주목받은 데는 그의 외교정책보다는 김정은 북한 정권과 아베 일본 내각의 '무모한 도발'로 반사이익을 받은 측면이 크다는 지적도 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이 한·미 관계를 고려해서 동북아 평화 협력 구상에 반대 입장을 표명하지 않았을 뿐이라는 평가에도 유의해야 한다.

하버드대에서 '대통령학'을 20년 넘게 가르쳐온 로저 포터 교수는 "미국의 대통령은 자신에게 주어진 시간의 절반을 외교정책에, 그 나머지는 경제정책에 쓴다"고 했다. 포터 교수는 역대 미국 대통령들의 자서전을 분석한 결과 외교 분야에 대한 언급이 다른 분야에 비해서 최고 4~5배 많다고 했다.

한국은 미국보다 외교가 몇 배는 더 중요한 나라이다. 박 대통령이 보기 드문 외교적 기회를 어떻게 활용하느냐가 대통령으로서 성공 여부를 판가름하는 것은 물론, 그동안 강대국에 눌려 왔던 한국이 기지개를 켤 수 있을지를 결정지을 것이다.
<iframe aria-hidden="true"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id="fb_xdm_frame_http" title="Facebook Cross Domain Communication Frame" src="http://static.ak.facebook.com/connect/xd_arbiter.php?version=24#channel=f2a61575d4c28c&origin=http%3A%2F%2Fnews.chosun.com&channel_path=%2Fsite%2Fdata%2Fhtml_dir%2F2013%2F05%2F19%2F2013051901431.html%3Ffb_xd_fragment%23xd_sig%3Dfc228e2bb0c73%26"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 name="fb_xdm_frame_http" scrolling="no" tab-index="-1"></iframe><iframe aria-hidden="true" style="BORDER-BOTTOM: medium none; BORDER-LEFT: medium none; BORDER-TOP: medium none; BORDER-RIGHT: medium none" id="fb_xdm_frame_https" title="Facebook Cross Domain Communication Frame" src="https://s-static.ak.facebook.com/connect/xd_arbiter.php?version=24#channel=f2a61575d4c28c&origin=http%3A%2F%2Fnews.chosun.com&channel_path=%2Fsite%2Fdata%2Fhtml_dir%2F2013%2F05%2F19%2F2013051901431.html%3Ffb_xd_fragment%23xd_sig%3Dfc228e2bb0c73%26" frameborder="0" allowTransparency name="fb_xdm_frame_https" scrolling="no" tab-index="-1"></iframe>
  • 허영환 2013.05.21 10:18
     

    북한을 신성장동력으로 … 

    [중앙일보] 입력 2013.05.21 00:51 / 수정 2013.05.21 09:08

    『북한에 대한 불편한 진실』 낸 윤대규 경남대 부총장

    윤대규 부총장은 “정전 60년이 지나도록 북한 문제의 수렁에서 헤어나지 못하는 근본 이유는 희망적 사고에 기대 임기응변식 대응을 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김성룡 기자]
    “동양사상의 정수인 불교와 유교가 가장 화려하게 꽃을 피운 곳이 한국입니다. 서양사상의 원천 중 하나인 기독교가 동양 문명권 내에서 가장 번창한 곳도 한국 아닙니까. 한국은 동서양 사상의 변증법적 통합을 통해 동서양을 포괄하는 새로운 사상이 출현할 수 있는 가장 좋은 토양을 지니고 있어요.”

     종교인의 말이 아니다. 지난 30여 년간 법철학과 법사회학, 그리고 북한법을 연구해온 윤대규(60) 경남대 부총장의 얘기다. 그는 지난주 『북한에 대한 불편한 진실』이란 173쪽짜리 책(한울 아카데미)을 펴냈다. 문명의 중심이 서양에서 동양으로 이동하는 문명사적 전환기를 맞아 한국은 세계의 중심국가가 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맞고 있음에도 ‘북한 문제’라는 마지막 문턱을 넘지 못해 타고난 장점을 살리기는커녕 세상의 웃음거리가 되고 있다는 절절한 안타까움이 책 곳곳에서 묻어난다.

    윤 부총장은 “희망적 사고(wishful thinking)에 기대어 북한의 움직임에 임기응변식으로 대응해온 것이 정전 60년이 되도록 북한 문제의 수렁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는 근본적 이유”라고 지적한다. 현실에 대한 정확한 진단에 근거하기보다 희망과 기대를 바탕으로 대북정책을 수립하다보니 실효성도 없고, 지속가능성도 없었다는 얘기다.

     그는 인정하고 싶지 않지만 받아들여야 할 가장 중요한 ‘불편한 진실’은 중국이 허용하지 않는 한 북한 체제는 붕괴하지 않는다는 점이라고 말한다. 최근 중국이 보여주고 있는 표면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적어도 가까운 장래에 중국이 북한을 버릴 가능성은 없기 때문에 북한의 붕괴를 전제로 하거나 이를 목표로 하는 대북정책은 성공할 수 없다는 것이다. 북한 체제를 인정하고 북한의 생존을 전제로 하는 정책만이 대북정책으로서 실효성을 가질 수 있다는 주장이다.

     책에서 그는 북한 핵에 대한 발상의 전환을 촉구한다. 북핵 문제와 남북 문제의 연결고리를 과감하게 끊자는 것이다. 핵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이 직접 북한과 할 수 있는 일은 별로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고, 핵 문제는 북한과 미국이 주도적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미국에 명분과 동력, 그리고 아이디어를 제공하는 역할을 우리가 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핵 문제의 덫에서 빠져나와 남북관계 진전과 같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에 역량을 집중하면 우리가 남북관계를 주도하면서 이룰 수 있는 일이 많다는 얘기다. 남북간 교류협력 확대를 통해 평화통일 기반을 구축하고, 북한의 남한 의존도를 높여 북한의 경제 수준 향상과 도발 억제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그는 “남북간 체제 경쟁은 이미 끝났다”면서 “핵무기보다 강한 평화의 무기인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 체제로써 북한 문제를 정면돌파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체제 경쟁에서 승리한 자신감을 바탕으로 북한 방송과 출판물 전면 개방, 북한 여행 자유화, 개인의 대북 투자 허용 등 파격적인 조치들도 그는 제안했다. 경협을 통한 군사적 긴장 완화 방안도 내놓았다. 예컨대 개성-신의주 간 고속도로를 건설해주는 대신 서울에 가장 위협적인 장사정포를 사정거리 밖으로 후퇴시키는 ‘빅딜’을 생각해 볼 수 있다는 얘기다.

     독자들에게 전하고 싶은 가장 중요한 메시지를 묻는 질문에 그는 “북한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인정하고, 국익의 관점에서 북한을 신성장동력으로 활용해 국가경쟁력을 높이자는 것”이라고 했다. 자신을 좌파도, 우파도 아닌 ‘국익파’로 규정한 윤 부총장은 “이제는 보수, 진보의 이데올로기적 접근에서 벗어나 국익의 관점에서 북한을 봐야 한다”고 말한다. 이명박 정부 5년처럼 박근혜 정부에서도 남북 경색 국면이 이어진다면 우리의 국익은 큰 손실을 입게 될 것이므로 자신감을 바탕으로 북한과의 진정성 있는 대화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글=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 허영환 2013.05.22 14:31
    [정치] 수요 초대석 게재 일자 : 2013년 05월 22일(水)
    “‘통일 한반도에 美軍 없다’ 보증해야 중국 안심”
    前 중국공산당 당교 기관지 學習時報 부편집장 덩위원
    “통일된 한국에 대해 중국이 안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다음과 같은 약속이나 보증이 있어야 됩니다. 무엇보다 통일된 한국에는 핵이 없어야 합니다. 한반도가 비핵화를 해야 하고 미군은 반드시 철수해야 할 것입니다. 이런 것들을 한국 정부가 통일 전에 중국과 모종의 협약을 맺거나 보증을 해줘야 됩니다. 통일 전에 이런 문제에 대한 사전 정지작업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떻게 해야 중국이 통일된 한국을 위협적으로 인식하지 않을지, 중국이 어떻게 한국을 신뢰할 수 있을지에 대해 한국이 성의를 보여줘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의 해직 언론인 덩위원(鄧聿文·45). 그는 “중국도 이제 한국 주도의 통일이 불가피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는 것 같다”며 “한국이 어떻게 하면 중국이 통일 이후의 한·중 관계에 대해 확신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기자의 질문에 “이 문제는 아주 간단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국의 입장으로서도 썩 좋은 약속은 아닌 이 같은 말을 그는 서슴없이 내뱉었다. ‘귀에 거슬리는 말을 한다(講逆耳之言)’는 그의 좌우명 그대로였다.


    21일 오후 서울 중구 정동 프란체스코회관에서 열린 강연을 위해 신문명정책연구원(대표 장기표) 초청으로 한국을 처음 방문했다는 그를 강연 하루 전날인 20일 문화일보 5층 소회의실에서 처음 만났다. 170㎝가 되지 않는 작은 키, 짧은 머리, 그을린 피부, 마른 체구, 캐주얼 바지와 노타이 차림에도 큼지막한 양복 상의를 걸친 그의 모습은 실용주의를 추구하는 전형적인 중국인의 모습이었으나 그가 쏟아내는 거침없는 말투는 전혀 ‘실용 중국인’이 아니었다. 지난 2월 말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에 ‘중국은 북한을 버려야 한다’는 제목의 글을 기고했다가 중국공산당 중앙당교의 기관지인 쉐시스바오(學習時報) 부편집장 자리에서도 쫓겨난 그였다. 그만큼 거침이 없었다.

    자리에 앉자마자 지난 16일자 문화일보 1면을 보여줬다. “중국 내부에서는 북한이 핵무장 등으로 넘어서는 안 될 선(금지선)을 넘었다고 판단하는 기류가 확산되고 있으며, 중국 내에서 예전에는 금기시했던 북한의 평화적 붕괴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는 내용을 설명하면서 중국 내부에서 일고 있는 북한의 평화적 붕괴론이 어느 정도인지를 물어봤다.

    “북한이 지난 2월 12일 3차 핵실험을 하면서 중국의 이익을 건드리게 됐는데, 이때부터 중국 정부와 민간인들 사이에서도 북한에 대한 반대 여론이 많이 일고 있다. 중국 인민들은 중국 정부의 북한에 대한 애매모호한 태도에 대해서 반대하는 사람이 많아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면서 “이 기사가 사실이냐”고 되물으면서 “중국 고위층 인사로는 이런 말을 할 사람이 많이 있는 것 같지는 않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해당 기사는 지난주 한국을 비공개 일정으로 방문한 중국의 고위급 관계자가 한국의 의회 관계자와 만난 자리에서 나눈 이야기”라고 하자 “이 말이 사실이든 사실이 아니든 내가 보기에는 맞는 말이다. 그(이 말을 했다는 중국 측 고위인사) 역시 판단을 잘했다. 방금 말했지만 북한이 중국의 이익을 침범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이 갈수록 많아지고 있으며, 북한이 중국의 레드라인을 넘었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게 사실이다. 저를 비롯한 여러 학자들이 이런 주장을 펼치고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하고 있다.”

    ―중국의 고위층 지도자들도 이런 생각과 별반 다르지 않은지.

    “허허, 중국 고위 지도층이 이런 생각을 갖고 있는지, 아닌지는 내가 판단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며 판단해서도 안 된다. 하지만 분명한 것은 북한의 핵실험에 대해서 중국 지도층도 매우 화를 내고 있다. 그렇지 않으면 유엔의 북핵문제 제재에 동참할 수 있겠는가.”

    ―평화적 붕괴론과 관련, 한반도가 통일이 된다면 어떤 형태로 이뤄질 것으로 보는가.

    “한반도의 통일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가운데 첫 번째 통일 형태는 북한의 자연스러운 붕괴다. 자연붕괴라고 하면 북한 당국이 국민들의 경제적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거나, 아니면 모종의 자연재해로 국민들이 불만을 갖게 되면서 붕괴되는 것이다. 두 번째 방식은 전쟁으로 인한 붕괴다. 한국이 먼저 도발하든, 북한이 먼저 도발하든 모두 가설이지만 어쨌든 모두 북한이 전쟁에 패배할 가능성이 높다. 왜냐하면 북한이 상대하고 있는 것은 한·미 동맹이기 때문이다. 세 번째 방식은 북한이 정상적인 발전을 가졌을 때의 통일 방식이다. 북한이 경제적인 성장을 이룩하면서 조금 오랜 시간을 거쳐 한국과 경제적인 면이나 여러 면에서 교류를 가짐으로써 천천히 통일하는 것이다. 하지만 북한의 발전속도는 한국보다 한참이나 뒤떨어져 있어 이런 방식의 통일은 분명히 한국이 주도하는 통일이 될 것이다.”

    ―세 가지 통일 방식 중에 어느 것이 가장 좋다고 생각하는가.

    “세 가지 방식 가운데 북한이 경제적 성장을 이룩한 뒤 한국과 통일하는 방식인 세 번째 통일 방식이 양국 간 치러야 할 대가나 피해가 가장 적고, 두 번째 방식인 전쟁을 통한 통일 방식은 피해나 대가가 가장 크다. 물론 현재의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가장 가능한 시나리오는 북한의 자연 붕괴와 전쟁발발로 인한 통일 등 앞의 두 가지 방식이다.”

    ―한반도의 통일에 대해 중국은 어떤 입장이나 방식을 취해야 한다고 생각하나.

    “방금 이야기한 대로 남북의 통일은 북한의 경제발전으로 인한 남북 간 합의에 의한 통일 방식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다. 남북이 자연스럽게 통일하는 것인데, 중국은 한반도의 통일이 이런 방향으로 되도록 도와줘야 한다.”

    ―최근의 북·중 관계에 대해 ‘의심할 여지도 없이(毫无疑問·호무의문)’라는 단어를 쓸 만큼 현재의 북·중 관계가 근래 들어 가장 좋지 않은 것으로 이야기했다. 그 이유는.

    “최근의 북·중 관계가 가장 좋지 않다고 판단하는 것은 어렵지 않다. 중국과 북한의 관계는 중국과 한국이 1992년 수교했을 당시에도 수렁에 빠졌다. 하지만 그 당시에는 사실 중국의 고위층이 외교 경로를 통해 북한의 김일성에게 이러한 사실을 미리 전달했으며, 한·중 간의 수교에도 불구하고 그 당시에는 중국과 북한 고위층 간의 교류가 항상 있었다. 하지만 김정은체제가 들어서고 북한과 중국 고위층 간 교류가 없어졌다. 특히 최근 1년간 북한과 중국의 고위층 간에는 어떤 교류도 없었다. 이것이 이전 북·중 관계가 좋지 않을 때와 다른 점이다. 이 때문에 중국과 북한 간의 관계가 의심할 여지도 없이 최저의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고 보는 것이다.”

    ―북한과 중국은 혈맹관계라고 하면서도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중국 방문이 1년 6개월 동안 이뤄지지 않고 있다.

    “하하하. 그가 중국 방문을 원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중국 정부가 그의 방문을 반기지 않기 때문이다.”

    ―중국은 왜 김정은의 방문을 탐탁하게 생각하지 않나.

    “김정은이 베이징을 방문하려면 중국 지도부와 모종의 약속이 있어야만 한다. 중국이 핵을 포기하지 않는 북한을 보증하는 꼴로만 비춰질 수 있어 이를 거절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북한이 핵을 포기한다든가, 당장 포기하지는 않더라도 얼마만큼의 시간이 지나면 비핵화를 실현한다는 약속이나 보장이 있어야만 김정은의 방문이 허용될 것이다.”

    ―최근 FT 기고문에서 북한이 중국의 동맹국임에도 ‘북한을 버려야 한다’고 했다. 중국이 북한을 짐이라고 생각한다면, 북한이 미국과의 관계 개선 등을 통해 먼저 중국을 버릴 수도 있지 않을까.

    “개인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국제적으로 북한을 받아들일 국가가 미국밖에 없지만, 미국은 절대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다.”

    ―왜 그렇다고 보는가.

    “여러 가지가 있지만 첫 번째 이유는 미국이 북한을 받아들이는 것은 중국과 적대관계를 만들겠다는 것인데 미국의 입장에서 중국이 중요하겠는가, 북한이 중요하겠는가. 미국은 북한 때문에 소탐대실(小貪大失)하지는 않을 것이다.”

    ―중국은행의 대북송금 금지, 유엔의 대북제재 동참 등 시진핑(習近平) 정권의 대북 정책이 후진타오(胡錦濤) 정권보다 강경하다. 왜 더 엄격한 입장을 취하는 것인가.

    “3차 핵실험 등 북한의 맹목적인 여러 가지 행동들이 이미 중국의 입장을 많이 난처하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제재를 늘리지 않으면 국제사회에서 중국의 이미지가 더없이 추락할 것이다. 북한이 중국의 이익에 손실을 주고 있는 상황에서 중국이 무엇 때문에 국제적 이미지를 추락시키면서까지 북한을 도와주려 하겠는가. 그건 아니라고 생각한다.”

    ―북한의 개혁개방 가능성은 있나.

    “거의 없다고 본다. 북한은 이미 중국이 개혁개방 했을 당시 있던 일련의 내·외부적 조건들을 상실했기 때문이다.”

    ―어떤 조건이 다른가.

    “정보의 폐쇄와 관련된 것이다. 중국이 개혁개방 할 당시에는 지금처럼 컴퓨터나 스마트폰 등 첨단과학이 존재하지 않는 등 굉장히 폐쇄돼 있었다. 중국 사람들이 전화를 사용한 것도 1990년대이다. 그러나 북한이 지금 시점에서 문호를 개방하면 최첨단 장비들이 많이 존재하면서 (정부에 좋지 않은) 각종 정보를 차단하려 해도 차단할 수가 없다. 북한이 개혁개방을 함으로써 많은 새로운 것을 받아들이게 된다면, 특히 그동안 ‘한국은 우리보다 못산다’고 했는데 현실을 알게 되면 북한 사람들은 스스로 ‘속아 살았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결국 주민들의 불만이 분출하게 될 것이고 폭동이 일어나게 될 것이다. 그러면 군이 나서 진압을 할 테고, 하지만 그런 진압은 미국이 용납하지 않을 것이다. 이런 조건들이 이전의 중국과 달라 북한은 개혁개방을 하지 못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 때문에 북한은 개혁개방을 하면 빨리 망하고, 개혁개방을 하지 않으면 천천히 와해될 것이다. 논리적으로 반드시 이런 과정을 거칠 것이다.”hangang@munhwa.com
     
    ▲ 20일 오후 문화일보를 찾은 중국의 해직 언론인 덩위원 전 쉐시스바오 부편집장이 문화일보 후원에서 한·중 관계와 북·중 관계, 그리고 한반도의 현재와 미래 등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다. 김낙중 기자 sanjoong@munhwa.com
  • 허영환 2013.05.22 14:49

    빅터 차 "김정은, 핵·경제실익 다 챙기려 승산 없는 도박"

    [중앙일보] 입력 2013.05.22 00:31 / 수정 2013.05.22 00:58

    [중앙일보-CSIS 연례 포럼] 김정은의 북한, 어디로 가는가

    중앙일보와 CSIS 연례포럼 제2세션에서 참가자들이 토론을 벌이고 있다. 왼쪽부터 김영희 본지 대기자, 리처드 루거 전 미 상원 외교위원장, 리처드 아미티지 전 미 국무부 부장관, 김태영 전 국방부 장관, 김흥규 성신여대 교수. [김형수 기자]

    ‘김정은의 북한, 어디로 가는가’를 주제로 한 제1세션에서 마이클 그린 CSIS 아시아 담당 선임 부소장은 북한과의 대화에 회의론을 폈다. 그는 “북한과의 대화는 유용성이 많이 떨어졌다. 전략적 인내(Strategic patience)는 북한보다 잃을 것이 더 많은 한국과 미국의 핑계에 불과하다. 대화를 악용해 북한이 계속 핵 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위장막을 줄 수 있음을 간과해선 안 된다. 대화의 대가는 크다”고 주장했다. “대화가 잠시 도발을 자제시킬 순 있겠지만 (역대) 북한 정권의 행태를 분석해보니 대화 뒤에 곧 도발을 시작했다”고 지적하면서다. 그는 “김정은이 오랜 게임을 끝내려 한다. 그 끝은 핵보유국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핵 보유를 인정한다고 오해할 만한 메시지를 북한에 주지 않도록 신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세대 문정인 교수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북한의 체제를 통치자가 신(神)으로 받아들여지는 신정(神政)체제라는 분석엔 일치했다. 그러나 북한 체제의 변화를 가져올 해법을 놓고는 견해가 엇갈렸다. 다음은 토론자들의 발언 요지.

    체제 보장 받고 더 많은 것 요구할 수도

     ▶마이클 그린=김정은 정권도 나름의 합리적인 논리를 갖고 도발하고 있다. 과거엔 핵 능력을 갖추기 위해 투자를 했다면 이제는 그 수익을 회수하려 한다. 김정은의 ‘마지막 게임(End game)’은 그런 의미에서 새로운 도박이다. 핵 보유국으로 인정받아 체제 안전을 보장받고 더 많은 것을 요구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질 것이다. 김정은은 국내 권력기반 강화에 부담도 느끼지만 지금 도박을 즐기고 있다. 다만 정권의 큰 기반은 여전히 신정체제다. 인위적으로 꾸며진 체제는 언제든 무너질 가능성이 있다. 그 때문에 국제사회가 핵무기 보유를 허용하고 제재하지 않도록 해 북한 체제의 정통성을 인정받으려 한다.

     ▶빅터 차 조지타운대 교수=핵 위협은 북한이 세계와 교류하는 유일한 방법이다. 지도자가 누구든 상관없다. 김정은 정권에 와서 내용보다 속도가 달라졌다. 최근 3, 4월에 집중적으로 위협적인 수사를 쏟아냈다. 이제는 핵무기 개발과 함께 경제적 실익까지 모두 추구하겠다는 것이 이전의 메시지와 다른 점이다. 김정은 정권은 다시 협상할 생각이 없다. (핵 보유와 경제건설) 둘 다 하겠다는 것은 양보할 생각이 없다는 뜻이다. 그러나 김정은의 새로운 도박은 승산이 없어 보인다. 스스로를 구석에 몰아넣어 빠져나올 구멍이 점점 없어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 우리의 전략적 인내는 한계가 있다. 시간을 끌수록 불리하다. 북한이 진심을 보일 때 대화를 재개한다는 건데, 현재 북한은 전혀 아쉬운 것이 없다. 더구나 신정체제인 북한은 경제 개혁이 체제의 연속성에 위협을 주면 언제든 버릴 것이다. 세속적으로 개혁을 택한 미얀마와 다른 부분이다. 4, 5년 안에 북한 정권이 끝날 수도 있다.

    북한은 지금 미국과 대화의 조건 싸움 중

     ▶천영우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북한은 협박 외에 쓸 수 있는 수단이 고갈되고 있다. 김정은 정권이 협박 수위를 높였지만 예전과 본질은 다르지 않다. 기본적으로 약한 모습을 보이기 싫어한다. 김정은 정권이 협상 의지가 없는 건 아니다. 이들은 러브콜할 때도 협박 방식을 쓴다. 그래도 결국 원하는 건 협상이다. 구걸하는 인상을 주지 않으면서 협상 입지를 높이려고 도발하는 것이다. 문제는 대화의 조건이 맞느냐다. 지금은 대화 조건의 싸움이다. 그 조건이 안 맞아 대화가 안 되고 있다. 북한은 자신들의 운명을 좌우할 나라가 미국뿐이라는 판단 때문에 미국과 대화하길 더 원한다. 그러나 미국은 비핵화 없이는 협상도 안 하겠다는 입장이다.

     ▶김근식 경남대 교수=김정은 정권의 도발은 사실상 마지막 도박판이다. 과거 반복된 패턴으로 치부하긴 어렵다. 김정은은 마지막 패까지 다 받았고 이 도박을 끝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 같다. 벼랑 끝 전술을 극대화하고 있다. 협상 조건이 완전히 충족되지 않으면 협상에 나가지 않으려 한다. 이 시점에 전략적 인내는 전혀 도움이 안 된다. 위기만 더욱 고조시킬 것이다. 기다릴수록 시간은 북한 편에 있다. 이스라엘처럼 일상화된 전쟁 위기를 버틸 수 있는지는 우리의 선택이다. 북한이 신정체제여서 이럴 수밖에 없다는 소극적 태도로는 대가가 클 수 있다. 전략적 인내 대신 전략적 관리로 가야 한다.

    특별취재팀=장세정·이지은·정원엽 기자
    사진=김형수 기자
  • 허영환 2013.05.23 17:25

    北에 가장 위협적 B-2, 레이더에 잡힌 모습이

    [중앙일보] 입력 2013.03.29 00:29 / 수정 2013.05.23 16:10

    이라크·리비아 공습한 스텔스, 북 위협 커지자 투입
    한국서 B-2 훈련 첫 공개
    옛 소련 핵공격 위해 개발
    대당 가격 12억 달러 달해
    ‘금으로 만든 비행기’ 별명

    27일 낮 미국 미주리주 화이트맨(whiteman) 공군기지에서 ‘보이지 않는 폭격기’ 두 대가 날아 올랐다.

     적의 레이더망에 포착되기 어려운 B-2 스텔스 폭격기였다. 이들은 최고속도 980㎞(마하 0.8)로 1만460㎞를 날았다. 한 시간에 1000㎞ 가까이 날아 10시간여 만에 한반도 영공에 도달했다. 그러곤 곧바로 서해 군산 앞바다로 기수를 돌렸다. 2명의 승조원이 스위치를 누르자 폭이 50m가 넘는 육중한 기체에서 훈련용 폭탄이 쏟아졌다.

    ▷여기를 누르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B-2는 폭격 훈련 후 경기도 오산의 미 7공군 기지로 이동해 활주로 입구까지 날았다. 랜딩기어도 내리고 활주로 한쪽 끝에 접근했지만 착륙은 하지 않고 곧바로 기수를 올려 화이트맨 기지로 귀환했다. 군 관계자는 “유사시 본토에서 출발한 폭격기가 다음 작전을 위해 오산기지에서 급유와 폭탄 재장착을 한 뒤 복귀하는 시나리오였다”고 전했다.

     B-2는 B-52 전략 폭격기, B-1 초음속 폭격기와 함께 유사시 한반도에 출동할 미 공군 폭격기 3종 중 하나다. 앞서 B-52 등장에 예민한 반응을 보였던 북한인 만큼 B-2의 공개에도 극심한 반발이 예상된다. 북한 핵시설이나 미사일 기지, 평양의 주석궁 등 강력한 방공망을 갖춘 전략 목표물 공격에는 세 종류 폭격기 가운데 최신형인 B-2가 투입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실제 B-2의 위력은 가공할 만하다.

     이 폭격기의 무기 탑재량은 약 18t이다. B-52의 30t 보다는 적다. 그러나 적의 레이더엔 작은 새 정도로 인식되기 때문에 은밀한 접근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핵폭탄과 사거리 370㎞에 달하는 장거리 공대지 미사일 재즘(JASSM) 등을 장착하고 있어 정밀한 폭격이 가능하다.

     1998년 코소보 전쟁을 시작으로 나토의 유고연방 공습작전, 아프가니스탄전과 이라크전, 리비아 공습작전인 ‘오디세이의 새벽’ 등에 주력으로 투입돼 왔다.

     80년대에 개발된 B-2는 소련에 대한 핵 공격을 위해 개발됐으며 총 22대밖에 생산되지 않았다. 대당 12억 달러(98년 기준)에 달해 ‘금으로 만든 비행기’라는 별명도 있다.

     연합사 측이 B-2의 폭격훈련을 공개한 건 북한이 도발 징후를 보일 경우 오키나와나 괌에 있는 미군기지에서 대응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미국 본토의 핵공격 수단을 전진배치해 대응하겠다는 메시지다. 북한의 ‘말’에 ‘행동’으로 대응하겠다는 무력 시위인 셈이다.

     ◆벙커버스터 도입

    이런 가운데 우리 군은 북한이 지하에 구축한 핵과 미사일 시설을 파괴할 수 있는 레이저유도폭탄 GBU-28(벙커버스터)을 5월 중 도입하기로 했다. 군 관계자는 “미국은 최근 수출을 통제하던 GBU-28을 한국에 수출하기로 승인했다”며 “5월 중으로 도입해 연내에 실전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정용수 기자
  • 허영환 2013.05.24 09:24
     

    [김영희 칼럼] 비상구 찾는 김정은

    [중앙일보] 입력 2013.05.24 00:28 / 수정 2013.05.24 00:28
    김영희
    국제문제 대기자
    김정은이 놓인 상황을 이렇게 비유할 수가 있겠다. 아이는 미사일을 가지고 전쟁놀이를 했다. 장난감 물총 쏘듯 미사일을 쏘았지만 어른들은 아이에게 “이것 받고 위험한 불장난 그만하라”고 선물을 내밀며 달래지 않았다. 오히려 어른들은 주던 선물까지 끊어버리고 아이를 왕따시켰다. 아이는 체면치레할 만큼의 보상도 못 받고 미사일 전쟁놀이를 접어야 했다. 그리고 믿을 만한 부하를 가장 인심 후한 어른에게 보내 그의 심기를 풀어주어야 했다. 아베라는 작은 어른이 용감하게 “우리끼리 잘해보자”며 손을 내밀어 덥석 잡기는 했지만 다른 어른들의 태도는 여전히 냉랭하니 어쩌랴.

     김정은은 이렇게 해서 측근 실세인 조선인민군 총정치국장 최용해를 중국에 특사로 보냈다. 지난 5개월 동안 북한은 중국의 완강한 반대를 무시하고 장거리 로켓 발사와 세 번째 핵실험을 강행했다. 그러면서 하루가 멀다 하고 살벌한 수사(Rhetoric)를 동원하여 한국과 미국에 전쟁위협을 쏟아냈다. 북한의 부동의 후견인으로 알려진 중국의 위신이 크게 떨어졌다. 그래서 시진핑 주석과 중국의 고위 인사들이 북한에 중국 문 앞에서 말썽 부리는 걸 용납하지 않겠다고 엄하게 경고하고, 중국 중앙은행은 북한의 대외거래를 총괄하는 조선무역은행과의 거래를 끊고 대북 수출품 통관절차를 강화했다.

     김정은은 처음부터 실제로 무력도발 할 생각을 하지 않았다. 그의 목적은 대내적으로 강력한 지도자 이미지 확산으로 권력기반을 강화하고, 미국과 직접협상을 바라고 구두도발로 위기를 최대한 키우는 것이었다. 그러나 미국은 강력한 힘의 과시로 대응했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중국의 도전에 밀리던 미국은 북한의 전쟁위협을 기회 삼아 B-2와 B-52 같은 첨단 전략폭격기를 한·미 합동 독수리훈련에 참가시켜 한국에는 미국의 억지력의 건재함을 보이고, 북한의 도발의지를 꺾고, 중국에는 이 지역에서 미국의 군사적인 존재를 과시하는 삼중효과를 동시에 거두었다. 핵잠수함의 동해 배치는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억지력이었다. 미국은 김정은과 북한 군부에 분쟁재발은 북한체제의 위기를 의미한다는 분명한 메시지를 전한 것이다.

     박근혜정부도 북한의 휴전협정 무효 선언과 개성공단 가동 중단에 흔들리지 않았다. 한국과 미국으로부터 체면치레할 구체적 제안을 기대하던 김정은에게 돌아온 것은 대화의 문은 열려 있다는 말뿐이었다. 박 대통령의 5월 초 미국 방문에서도 한·미 동맹 재확인과 대북 강경발언만 나와 김정은의 기대가 무너졌다. 더는 버티지 못하고 들었던 주먹을 내려야 했던 김정은은 동해로 미사일 세 발을 발사하고 미사일 전쟁놀이를 접지 않을 수 없었다. 일본 총리 아베 신조가 한·미·일 대북공조를 이탈하고 특사를 평양에 보낸 것이 고립 속의 김정은에겐 뜻밖의 행운이었다.

     최용해를 중국에 보낼 특사로 결정한 것은 김정은의 일석이조의 절묘한 선택이다. 인민군 총참모부 작전국장과 다른 장군들이 함께 갔다. 김정은이 지금의 위기를 주도했거나 그 동기를 부여한 최용해에게 중국 특사의 큰 임무를 준 것은 “위기를 주도적으로 조성한 네가 중국에 가서 위기 종식과 대화 수용 의사를 밝히라. 그리고 돌아와서 두말하지 말라”는 고도로 계산된 메시지일 것이다.

     김정은에게는 6월 7~8일 오바마·시진핑 회담에 앞서 시진핑에게 자신의 입장을 전달할 필요가 있다. 미·중 정상회담은 5월 초 한·미 정상회담과 6월 하순 한·중 회담과 함께 한·미·중 3각 연쇄 정상회담의 핵심고리다. 위기국면이 계속된다면 연쇄 정상회담에서 북한에 어떤 불리한 이야기가 나올지 모른다. 김정은의 불안이 특사파견의 직접적 동기로 보인다.

     한·미·중 연쇄 정상회담 사이에 김정은의 특사가 중국에 간 것은 고무적이다. 최용해의 방중 결과 김정은의 조기 중국 방문이 실현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 일이다. 위기는 확실히 진정국면으로 돌아섰다. 중국은 한반도의 현상유지를 최선의 질서로 생각한다. 그래서 중국은 국제사회의 대북제재에 제법 적극적으로 동조했다.

     문제는 지금부터다. 중·장기적으로 핵·미사일을 포함한 북한문제를 풀고 한반도에 평화를 정착시키기까지 갈 길은 멀고도 험난하다. 중국은 6자회담부터 재개하자고 할 것이다. 그러나 북한의 핵·미사일이 실전단계 직전에 와 있는 지금 재개되는 6자회담은 과거의 6자회담과 같을 수 없다. 구체적으로 어떻게 달라야 하는가. 구체적인 구상은 한국이 주도해야 한다. 남북대화 재개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한다. 대화 없이 신뢰 프로세스의 신뢰가 구축되지 않는다. 개성공단 정상화 논의가 대화의 단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김영희 국제문제 대기자
  • 허영환 2013.05.24 23:29

    최룡해 "6자회담 등 각종 형식 대화 원해"(종합2보)

    시진핑 "상황 어떻게 변해도 한반도 비핵화 견지"김정은 친필서신 전달…최룡해 귀국길 올라연합뉴스|입력2013.05.24 22:06|수정2013.05.24 22:06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C%8B%9C%EC%A7%84%ED%95%91&nil_profile=newskwd&nil_id=v20130524220606476" target=new>시진핑 "상황 어떻게 변해도 한반도 비핵화 견지"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A%B9%80%EC%A0%95%EC%9D%80&nil_profile=newskwd&nil_id=v20130524220606476" target=new>김정은 친필서신 전달…최룡해 귀국길 올라

    (베이징=연합뉴스) 신삼호 차대운 특파원 = 김정은 북한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의 특사인 최룡해 인민군 총정치국장이 24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6자회담을 포함한 각종 형식의 대화'를 원한다는 북한 측 입장을 피력했다.

     

     

    북한이 6자회담을 구체적으로 적시해가며 대화 의사를 표명함에 따라 북한 핵·미사일 문제로 경색된 한반도 정세가 국면 전환의 계기를 맞게될지 주목된다.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 원칙을 재차 강조, 북한의 핵 보유를 절대 용납하지 않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혔다.

    관영 통신사인 중국신문사 등에 따르면 시 주석은 이날 오후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최 총정치국장 일행을 접견했다.

    최 총정치국장은 "조선(북한)은 유관 각국과 공동 노력해 6자회담 등 각종 형식의 대화와 협상을 통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수호하기 위해 조선 측은 적극적인 행동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총정치국장은 북한이 경제 발전, 민생 개선을 진심으로 바라고 있으며 이를 위해 평화로운 외부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그는 북한이 전통적인 북·중 우호를 매우 소중히 여기고 있다면서 고위급 교류와 소통을 강화함으로써 부단히 양국 관계를 발전시켜나가기를 희망한다고 언급했다.

    최 총정치국장이 고위급 교류의 중요성을 힘줘 말한 것을 두고 외교가에서는 그의 방중 목적에 김 제1위원장의 방중 가능성 타진이 포함된 게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시 주석은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 유지는 많은 사람의 바람이자 대세"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중국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며 "정세가 어떻게 변화하더라도 유관 각국이 반도 비핵화 목표, 반도의 평화 안정 수호, 대화를 통한 문제 해결 원칙을 견지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시 주석은 이어 관련국들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는 가운데 정세 긴장을 완화하고 6자회담을 재개해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의 평화·안정 수호, 동북아의 장기적 평화를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촉구했다.

    시 주석은 북·중 관계와 관련, "중조(북중) 우호는 양국의 공동 이익에 부합한다"며 "중국 당과 정부는 조선과 함께 노력해 양국 관계를 장기적으로 건강, 안정적으로 발전시켜나가고자 한다"고 말했다.

    최 총정치국장은 시 주석에게 김 제1위원장의 친필 서신을 전달했다.

    시 주석을 예방하는데 성공한 최 총정치국장 일행은 이날 오후 8시30분께(현지시간) 북한 고려항공 특별기를 타고 2박3일의 방중 일정을 마무리하고 귀국길에 올랐다.

    앞서 최 총정치국장은 이날 오전 베이징 '바이다러우(八一大樓)'에서 판창룽(范長龍)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을 만나 관련국들과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는 견해를 거듭 피력했다.

    최 총정치국장은 전날 검색하기" href="http://search.daum.net/search?w=tot&rtupcoll=NNS&q=%EC%A4%91%EA%B5%AD%20%EA%B3%B5%EC%82%B0%EB%8B%B9&nil_profile=newskwd&nil_id=v20130524220606476" target=new>중국 공산당 서열 5위인 류윈산(劉云山) 정치국 상무위원을 만나 "조선(북한) 측은 중국의 건의를 받아들여 관련국들과 대화에 나서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 허영환 2013.05.25 11:43

    [사설] 시진핑·北 "북핵 회담 재개", 비핵화 기회 되려

    입력 : 2013.05.25 03:02

    <style>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style>
     

    시진핑 중국 주석은 24일 북한 김정은의 특사 자격으로 중국을 방문한 최룡해 북한군 총정치국장을 만나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안정이 많은 사람이 바라는 일이자 대세"라며 "중국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 유관 각국이 6자회담을 재개해 한반도 비핵화와 동북아의 장기적 평화를 위해 꾸준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고 중국 관영 매체들이 전했다. 최는 시 주석에게 "조선(북한)은 6자회담 등 각종 형식의 대화와 협상을 통해 관련 문제를 적절하게 해결하기를 바란다"며 "조선도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해 적극적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했다. 중국과 북한이 6자회담 등 다양한 형식의 북핵 협상에 나서기로 의견을 모은 것이다.

    북한이 이번에 반년 가까이 이어온 도발을 일단 접고 대화를 꺼내 든 것은 핵 폐기 협상에 진지하게 나설 뜻이 있어서라고 속단해선 안 된다. 쌀쌀해진 중국의 마음을 되돌리려는 의도가 더 클 것이다. 최는 자신의 방중(訪中)이 "조선·중국 관계를 개선하고 공고히 발전시키기 위한 것"이라고 했다. 북·중 관계에 아무 이상이 없다면 그런 말이 나올 리 없다.

    경계해야 할 점은 앞으로 북한과 어떤 대화가 진행돼도 비핵화에 진지한 뜻도 없이 '대화를 위한 대화'를 꺼낸 북에 시간만 벌어주는 대화가 돼선 안 된다는 것이다. 미국은 최의 발언에 대해 "북한이 외교적 절차를 진전시키기를 바란다면 한반도 비핵화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선을 그었다.

    중요한 것은 중국의 대응이다. 중국은 비핵화가 필요하다 해도 그걸 위해 북한 정권이 흔들리게 하지 않겠다는 원칙을 아직 바꾸지 않고 있다. 중국이 한반도 비핵화의 확고한 의지 없이 그저 긴장 완화만을 목적으로 대화 중재에 나선다면 다시 과거로 돌아갈 뿐이다. 최근 중국에선 북핵이 결국 중국 국익을 해치게 될 것이라는 논의가 일어나고 있다. 중국 정부에 지금 요구되고 있는 것이 이런 판단과 자세다. 그래야 북핵 폐기로 가는 의미 있는 디딤돌을 놓을 수 있다.

    한·미는 20년에 걸친 북핵 협상의 실패를 되풀이하지 않을 방안을 찾아야 한다. 그러려면 중국이 같은 열의(熱意)를 갖고 북핵 폐기에 동참하도록 이끌어야 한다. 한·미·일 3국은 과거 몇 차례 떠올랐던 북핵 폐기 협상의 호기를 그냥 흘려보낸 탓에 더 큰 북한발(發) 핵 재앙을 불러왔다. 북핵 협상 재개에 앞서 북한이 먼저 핵 시설 가동 중지 및 동결(凍結) 등 기존 6자회담 합의에 따른 조치 이행에 성의를 보이도록 하지 못하면 계단을 오르락내리락하는 허망한 일이 될 뿐이다.

  • 허영환 2013.05.27 08:16

         북한과 거리 둔 시진핑 

    입력 : 2013.05.27 02:59

    <style>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style>
    국가 지도자와 관련된 외교 행사를 분석할 때 통상 두 가지 방법이 동원된다. 행사 사진·동영상과 공식 발표문을 유심히 살펴보면 비공개 면담 상황을 재구성할
    <style> /*기사 본문 유형별 포토 팝업 탭 div*/ 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e/2012/type_mov_onoff.png) no-repeat 0px 0px; } a.pop_btn_mov:hover { background-position: 0px -98px;} a.pop_btn_mov img {display:none;} </style>
    이하원 정치부 차장
    수 있다. 특히 국가가 언론 매체를 장악하고 있는 중국에는 이 같은 방법이 필수적이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주석은 24일 최룡해 북한 인민군 총정치국장을 면담했다. 최룡해는 김정은 북한 노동당 제1비서가 북한의 지도자가 된 후 중국에 처음 보낸 특사였다. 시 주석이 그를 면담한 후, 중국 정부가 내보낸 공식 사진·동영상과 발표문은 북·중 관계의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건'으로 기록될 듯하다.

    시 주석은 최룡해가 두 손으로 약 30㎝ 길이의 김정은 친서(親書)를 전달하자 아무런 말 없이 무표정하게 이를 받았다. 이어서 왼쪽 끝을 한 손으로 잡아서 비서에게 줬다. 지난 1월 박근혜 대통령 당선자의 김무성 특사(새누리당 의원)로부터 친서를 전달받았을 때와는 180도 달랐다. 당시엔 친서를 개봉해서 읽어본 후 비서에게 이를 낭독하도록 했다.

    중국 언론 매체에 올라온 사진에서는 시 주석이 최룡해와 악수할 때의 거리가 1m가 넘어 보인다. 시 주석은 팔을 쭉 뻗어 최룡해의 손을 가볍게 잡았다. 정말로 만나고 싶은 사람을 만났을 때 두 손으로 맞잡으며 다가선 것과는 다른 모습이다.

    시 주석의 면담 후 '발표문'은 마치 북한에 대한 훈계 같다. 그는 "중국의 입장은 아주 명확하다"는 전제를 단 후, "정세가 어떻게 변화하든지 관련 국가들은 한반도 비핵화 목표를 굳건하게 유지해야 한다"고 했다. 세 개의 잇따른 문장에서 세 차례 비핵화를 강조했다. 중국의 관영 매체가 제목으로 뽑은 것도 바로 이 부분이었다. 김정은이 '핵보유국'을 선언하고 영변의 5MW 원자로를 재가동한 것에 대한 '질책'이라고 할 수 있다.

    시 주석은 지난해 11월 제18차 당 대회에서 총서기에 오를 때만 해도 북한에 대해선 우호적인 시각을 보일 것으로 전망됐다. 김일성 주석보다 한 살 아래로 '북·중 동맹' 시대를 살았던 아버지 시중쉰(習仲勳) 전 부총리의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았다.

    하지만 그가 최룡해 면담을 통해 보여준 모습은 하버드대의 경제사학자인 니얼 퍼거슨의 관측이 성급한 것이 아닐 수 있음을 시사한다. 퍼거슨은 지난달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의 새로운 지도부가 북한과의 관계를 전면 재점검하고 있다"며 "중국이 현재 북한을 포기할지, 아니면 껴안고 갈지에 대한 옵션을 저울질하고 있다"고 했다. "중국이 남북통일과 한반도 비핵화·주한 미군 철수를 맞바꾸는 전략적 선택을 할 수 있다"고도 했다.

    중국의 북한에 대한 입장이 확연히 변한 것은 물론 아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장거리 로켓 발사 후, 5개월 넘게 망동(妄動)을 계속하는 북한을 보면서 중국 내에 새로운 기류가 생기고 있는 것은 분명하다. 김숙 주유엔 대사가 기자들과 만나 "중국이 북한에 대해 '앵거(분노)'와 '휴밀리에이션(모멸감)'을 느끼고 있다"고 한 것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중국의 인터넷상에서는 3차 핵실험, '중국 선박 나포'를 자행한 북한에 대한 비난이 쏟아지고 있다.

    지금은 북한에 '앵거'와 '휴밀리에이션'을 가진 중국인들이 늘어나는 상황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서 북한의 변화를 이끌어내는 '용중(用中)'론이 적극적으로 논의돼야 한다. 그것이 한 달 앞으로 다가온 한·중(韓·中) 정상회담을 준비할 때 제1의 과제가 돼야 함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 허영환 2013.05.28 09:20

    배명복 칼럼] '서니랜즈 서밋'에 거는 기대

    [중앙일보] 입력 2013.05.28 00:08 / 수정 2013.05.28 09:12

    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버락 오바마 미 합중국 대통령 각하, 시진핑(習近平) 중화인민공화국 국가주석 각하. 열흘 후인 다음 달 7일 두 분은 캘리포니아주 리버사이드 카운티의 조그만 휴양도시 랜초 미라지에서 얼굴을 마주하게 됩니다. 미국의 뛰어난 신문·출판인으로, 주영 미국대사를 지낸 외교관이자 위대한 자선가였던 월터 아넨버그가 생전에 그곳에 조성한 서니랜즈의 ‘아넨버그 별장(Annenberg Retreat)’에서 하룻밤을 보내며 미국과 중국이 당면한 다양한 문제들을 논의할 예정입니다.

     시진핑 체제 출범 이후 첫 미·중 정상회담 장소로 오바마 대통령이 백악관 대신 ‘서부의 캠프 데이비드’로 불리는 서니랜즈를 제안하고, 시진핑 주석이 이를 수락한 것은 무슨 연유에서일까요. 의례에 얽매인 형식적인 대화보다 넥타이를 풀고, 편안한 마음으로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눠보자는 취지일 것입니다. 흉금을 털어놓는 허심탄회한 대화가 필요할 정도로 미·중 관계는 국제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양자 관계가 됐습니다. G2라는 표현을 굳이 쓰지 않더라도 이미 두 나라는 ‘불가결한 국가(indispensable nations)’입니다. 지구촌의 어떤 이슈도 워싱턴과 베이징을 피해가기 어려운 것이 오늘의 현실입니다.

     두 분이 조율해야 할 문제는 산처럼 쌓여 있지만 미국과 중국, 두 나라의 관계가 당연히 최우선 의제가 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냉전이 한창이던 1972년 2월, 리처드 닉슨 대통령의 방중으로 미·중 관계는 화해의 물꼬를 텄습니다. 그로부터 7년 후 두 나라는 역사적인 수교를 하면서 미·중 관계의 새로운 장을 열었습니다. 그때와 비교해 중국은 몰라보게 달라졌습니다.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의 경제대국이 됐고, 세계 최대의 외환보유액으로 미국의 천문학적 재정적자를 메워주고 있습니다. 두 나라의 경제적 상호의존성은 미·중 협력을 선택이 아닌 필수로 만들고 있습니다. 협력하면서 경쟁하고 견제하는 것이 양국 관계의 현주소입니다.

     중국의 5세대 지도자와 미국의 재선 대통령이 만나는 서니랜즈 회담은 미·중 관계의 제2막을 여는 의미 있는 자리가 되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41년 전 닉슨 대통령과 저우언라이(周恩來) 총리가 채택한 ‘상하이 공동성명’의 기본정신으로 돌아가야 합니다. 공동성명 9조에서 두 나라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패권을 추구하지 않으며 그 어떤 나라나 국가군의 패권 확보 노력에도 반대한다고 천명했습니다.

     중국의 부상에 맞서 미국이 추진 중인 ‘아시아 회귀(Pivot to Asia)’ 전략과 재균형 정책을 아·태 국가들은 역내 패권을 둘러싼 고래 싸움으로 인식하고, 불안한 눈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미·중이 서로의 차이를 인정하고 존중하면서 모든 문제를 대화를 통해 평화적으로 풀어나간다는 대원칙을 천명함으로써 아·태 국가들의 불안을 잠재울 필요가 있습니다. 그것이 대국(大國)의 책무입니다. 미·중이 상생하고,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길이기도 합니다. 소모적인 경쟁과 자극적인 견제를 지양하고 미래지향적이고 건설적인 협력을 추구하는 21세기 미·중 관계의 기본원칙을 ‘서니랜즈 공동성명’에 담아 주십시오. 대국 관계를 늘 패권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충돌이 불가피하다고 믿는 현실주의 이론가들의 코를 납작하게 해주십시오.

     미·중 협력은 한반도 문제 해결의 필수 조건이기도 합니다. 부조리하고 시대착오적인 분단 구도가 한반도 문제의 근본 원인임을 인정하고, 분단 체제를 극복하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통일을 이루려는 모든 한국인들의 열망을 환영하고 지지한다는 원칙을 천명해 주십시오. 통일의 선결 조건인 북한의 비핵화를 조속히 실현하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한다는 원칙도 밝혀 주십시오.

     북한 핵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한국과 미국·중국의 역할 분담이 중요합니다. 핵·미사일과 관련한 모든 활동을 동결하도록 북한을 압박하는 것은 중국의 역할입니다. 그런 레버리지를 가진 유일한 나라가 중국입니다. 회담 테이블로 돌아온 북한을 상대로 ‘빅딜’을 시도해 핵 포기를 이끌어내는 것은 미국의 역할입니다. 남북관계 개선을 통해 긴장 완화와 대화 분위기를 유도하고, 한반도 문제 해결을 위한 담대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미·중에 제공하는 것은 한국의 역할입니다.

     한반도 문제는 남북한의 문제이면서 국제 문제입니다. 미·중의 갈등 요인이기도 합니다. 한반도 문제 해결에 미·중 관계의 미래가 달려 있습니다. 두 분이 협력해 한반도 문제 해결의 본격적인 시동을 걸 수 있다면 미·중 관계는 새로운 전기를 맞게 될 것입니다. 역사에 남을 ‘서니랜즈 서밋’을 기대합니다.

    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 허영환 2013.05.28 21:31
    게재 일자 : 2013년 05월 28일(火)
    한·중의 反북핵 공조
    정충신/논설위원

    북한의 3차 핵실험 직후인 지난 2월 말 ‘중국은 북한을 버려야 한다’는 글을 파이낸셜타임스에 기고한 중국공산당 중앙당교 기관지 쉐스시바오(學習時報)의 전 부편집장 덩위원의 강도 높은 주장은, 시진핑 중국 지도부의 대북 정책 패러다임 변화를 예고하는 풍향계다.

    덩위원은 최근 국내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북한과의 관계를 정상적인 국가 간의 관계로 바꾸도록 해야 하며 중·북 우호동맹조약 중지 등과 같은 신호를 북한에 보내야 한다”고 주문했다. 지난달 미 하버드대 경제사학자 니얼 퍼거슨 역시 언론 인터뷰에서 “중국의 현 지도부가 현재의 북한을 포기할지 아니면 껴안고 갈지에 대한 옵션을 저울질하며 북한과의 관계를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고 한 발언과 일맥상통한다. 중·미 두 학자는 한반도 통일 후를 대비해 중국 정부의 적극적 협조를 당부하는 등 공통점이 무척 많다.

    중국 왕자루이 당 대외연락부장이 덩위원의 주장에 화답이라도 하듯, 지난 20∼24일 방중한 한국 정치인들에게 “중·북 관계는 일반적 국가 관계”라며 북한 유고 시 자동개입 조항과 같은 중·북 혈맹 관계를 부인한 것과도 같은 맥락이다. 중국 입장을 무시하며 시진핑 지도부의 체면까지 구기는 ‘핵 망나니 짓’을 벌여온 북한과 중국 간 깊은 갈등의 골이 김정은의 특사 파견 정도로 메워질 것 같지는 않다.

    지난주 김정은은 특사 파견으로 중국 지도부의 아량을 기대했지만 선물은커녕 냉대와 푸대접까지 당했다. 덩위원과 퍼거슨 주장의 신빙성을 확인시켜주는 대목이다. ‘핵개발·경제건설 병진노선’을 비판했던 박근혜 대통령을 북한이 원색 비난하자 ‘베이징에서 뺨 맞고, 서울에 화풀이한다’는 말까지 나온다. 6월 7일 미·중 정상회담에 이은 6월 말 박 대통령의 한·중 정상회담에 대한민국 안보의 운명이 걸려 있다.

    첫째, 북핵 저지를 관철할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 핵무기 작전 배치까지 앞으로 5년이 분수령이다. 전문가들은 북한이 3차 핵실험에 내폭형 기폭장치 제조능력을 확보했으며, 2차 핵실험에서 사용된 기폭장치 디자인을 우라늄탄에 적용해 순수 핵분열 내폭형 핵무기 제조에 성공한 것으로 보고 있다. 핵을 가진 북한이 더욱 안정화하는 것은, 한·중의 국익에 치명적이다. 핵·경제 병진노선이 전략적 오류임을 김정은이 하루라도 빨리 깨닫도록 한·미·중 삼각 공조를 강화해야 한다.

    둘째, 중국이 북핵 포기에 발벗고 나서게 하기 위한 대중 압박 카드로서 미국의 미사일방어(MD) 참여를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유사시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북한의 이동식 탄도미사일 수 급증으로, 선제타격을 통한 한·미의 ‘킬 체인(kill chain)’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존 케리 미 국무장관이 지난달 방중 때 북한이 핵·미사일 개발을 포기하도록 중국이 조정력을 발휘한다면 미국은 MD의 전진배치를 포기할 수 있다는 타협안을 제시한 것도 감안해야 한다.

    끝으로, 중국의 대북 정책 패러다임 전환은 한반도 통일을 위한 절호의 기회다. 북한의 장래와 관련해 중국 학계는 물론, 일부 공산당 간부들까지 나서 한국의 흡수통일 이후 한·중의 새 관계 설정을 모색하는 단계로 진화하고 있다. 북한 핵무기 포기를 위한 한·중 공조 국면을 활용한 주도면밀하고 담대한 통일 전략이 요구된다.

    csjung@munhwa.com
  • 허영환 2013.06.03 07:24

    [이홍구 칼럼] 큰 이웃 중국에 거는 기대

    [중앙일보] 입력 2013.06.03 00:34 / 수정 2013.06.03 00:50
    이홍구
    전 총리·본사 고문
    한반도의 긴장을 고조시키고자 광분한 북한의 도발에도 불구하고 국제사회는 전쟁의 위기를 넘기는 데 일단 성공하였다. 북한은 그 체제의 특수성과 예외성 때문에 치명적 파국을 자초하는 듯싶은 병리적 성격을 보일 때가 없지 않지만 생존을 위해서는 이해타산을 결코 소홀히 하지 않는다는 것을 한 번 더 보여주었다. 이번 사태는 국내외에서 궁지에 몰린 북한이 황급히 선택한 극단적 자구책에서 비롯된 것이다. 그러나 그러한 북한의 선택은 한반도 위기를 풀어갈 가장 중요한 열쇠는 북한이 아니라 중국이 갖고 있다는 사실을 부각시켰을 뿐이다.

     사실, 지난 100년 한반도와 한민족의 운명은 상당 부분 열강의 손에 좌우되어 왔다. 오늘의 상황 역시 그 연속선에서 전개되고 있다. 150년 만에 초강대국 위치에 복귀하고 있는 중국이 한반도문제 해결의 가장 중요한 열쇠를 쥐고 있다는 사실을 중국 스스로가 공개적으로 인정하는 시점에 도달한 것이다. 대서양과 태평양을 양 날개로 끼고 있는 미국, 유라시아대륙과 태평양 사이의 중원을 차지한 중국이 21세기의 초강대국으로 작동하는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그러기에 이번 주말에 열리는 오바마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의 정상회담에 우리는 비상한 관심을 갖게 되는 것이다.

     동서냉전이 독일문제의 해결로 막을 내렸듯이 21세기 아시아·태평양시대의 개막은 한반도문제 해결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동남아지역에서 예외국가로 남아있던 미얀마가 아시아시대에 동참하기로 결정하고 과감한 수순을 밟고 있는 시기에 핵무기 개발로 체제의 예외성을 담보하겠다는 북한의 입장은 분명 시대착오적 고집이다. 더구나 미국과의 협상으로 모든 어려움을 해소하겠다면서 그들의 핵무기 개발로 인해 불가피하게 조장될 동아시아 핵무기 도미노현상으로 가장 큰 손해를 입게 되는 것이 중국이란 사실은 간과하고 있다. 동아시아의 모든 국가가 수용하는 유일 핵보유국의 지위를 포기하면서 국경 100㎞ 지역에서의 핵폭발 실험을 감내하는 초강대국이 어디 있겠는가.

     이러한 상황의 논리를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북한이 돌출행동으로 부각시킨 것은 역사의 아이러니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세력균형에 걸맞은 초강대국 외교정책을 추진하려면 오래된 관행이나 수동적 자세에 안주할 수 없다는 적극적인 전략을 중국의 새 지도부는 추진하고 있는 것 같다. 세계 각 지역의 위급한 사안에 얽혀 여념이 없는 미국보다도 아시아 최대 현안인 한반도문제 해결에는 중국이 실마리를 선도하는 것이 오히려 자연스러울 수도 있다. 미국의 케리 국무장관이 4월 방중 때 중국이 주도하는 6자회담을 재개하고 2005년에 합의한 9·19공동성명을 문제해결의 기초로 삼기에 합의한 것은 바로 중국의 선도적 위치를 전제한 것이다. 한반도 비핵화는 중국의 초강대국 역할에 시금석이 된 것이다. 중국의 권고를 수용하여 생존을 보장받든지 아니면 중국과의 우호적 관계에 종지부를 찍을 것인지, 선택을 강요당하게 된 북한은 역시 실리 위주의 결정을 내리지 않을까.

     김정은의 특사 최용해에게 시진핑 주석은 분명한 원칙을 제시하였다. 한반도문제 유관 국가들이 6자회담을 진전시켜 한반도 비핵화를 실현하고, 한반도와 동북아의 적극적인 평화·안정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다. 베이징대 왕이저우(王逸舟) 교수는 북·미 관계 정상화, 주변 강대국들의 체제안전 보장, 경제원조라는 세 가지 조건이 충족되면 북한은 핵을 포기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중앙SUNDAY 5월 26일자 5면). 이러한 입장은 북핵 폐기 및 북한의 안보우려 해소, 관계정상화, 대북 경제지원을 명시한 9·19공동성명과 정확히 궤를 같이하는 것이다. 그간의 우여곡절은 서로 잊는 것이 상책이다. 결국 하나의 공동체 안에 두 국가체제의 평화적 공존을 처방한 1989년 민족공동체통일방안에 입각하여 남북이 합의한 일련의 공동목표를 되살려야 하겠다.

     20년 전과 달리 이번에는 미국과 중국이 한반도문제의 두 국가 해결책(two state solution)에 적극적으로 무게를 실어줌으로써 아시아·태평양시대의 주춧돌을 함께 놓기로 뜻을 같이하고 있다. 이렇듯 동북아의 평화와 비핵화에 대한 당사국 간의 합의가 가능하다면 이를 현실화하는 구체적 절차와 수순을 준비하는 것은 우리 시대의 외교가, 특히 정상외교가 짊어진 역사적 책무라고 하겠다. 함께 나아가야 할 길이 훤히 보이니 동행자들의 의지와 상호신뢰를 다져야 할 때다. 닷새 후의 오바마·시진핑 회담, 6월 말의 박근혜·시진핑 회담의 중요성도 그러한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아시아의 가장 큰 나라 중국의 미래지향적 결단에 대한 우리의 기대는 클 수밖에 없다.

    이홍구 전 총리·중앙일보 고문
  • 허영환 2013.06.03 14:06
    김진의 시시각각] ‘대동강의 기적’을 위하여[중앙일보] 입력 2013.06.03 00:39 / 수정 2013.06.03 09:19
    김진
    논설위원·정치전문기자
    한반도 정세가 기록적으로 변하고 있다. 주변국들이 북한을 엄격하게 다루기 시작한 것이다.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김정은의 특사를 차갑게 대했다. 과거 조·중 혈맹으로는 있을 수 없는 일이다. 왕자루이 중국 공산당 대외연락부장은 한국 국회 방문단에 “중국과 북한은 일반 국가 관계”라고 말했다. 혈맹을 공개적으로 부인한 것이다. 점점 더 많은 중국 지식인이 “중국은 북한을 버려야 한다”고 말한다. 조건을 달기는 하지만 이들은 한국 주도 통일까지 지지한다.

     미국은 북한의 ‘20년 사기극’에 더 이상 속지 않을 태세다. 최용해 특사가 6자회담을 언급했지만 미국은 시큰둥하다. 핵 포기가 없는 한 대화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본토에서 ‘괴물 전략폭격기’를 보내 한반도에서 폭격훈련을 했다. 미국 대통령들은 선거만 다가오면 문제를 만들지 않기 위해 북한에 유화적인 태도를 취하곤 했다. 오바마는 마지막 임기라 그런 부담이 없다. 그는 북한 문제를 진지하게 다룰 가능성이 높다.

     박근혜 대통령은 신뢰 프로세스를 제안해 놓기는 했다. 하지만 이는 이론적인 제스처일 가능성이 크다. 현실 정책으로는 작동하기 어렵다. 박 대통령도 무작정 프로세스를 시작하지는 않을 것이다. 박근혜는 북한의 도발과 개성공단 폐쇄에 단호히 대처하고 있다. 북한 문제의 본질을 빠른 속도로 이해한 것이다. 그는 매우 신중한 스타일이다. 적어도 김대중·노무현처럼 북한에 끌려 다니는 실수는 없을 것이다.

     한반도 주변에서 벌어지는 변화는 새로운 미래를 예고하는 것일지 모른다. 올해로 분단 68년이다. 오랜 세월 참으로 많은 고통이 있었다. 북한의 전쟁과 도발로 많은 이가 죽었다. 이런 희생도 소용이 없는 것인가. 한반도에는 인류 역사상 가장 끔직한 양극화가 진행되고 있다. 최근 북한에 송환된 9명은 체구가 너무 작다. 15~23세라는데 남한 중학생 수준이다. 북한 국민은 오랫동안 제대로 먹지 못했다. 지금 북한 청소년은 남한보다 10여㎝가 작다. 북한 강제수용소에는 10여만 명이 갇혀 있다. 이런 상황이 지속될 수는 없다. 뭔가 개혁이 일어나야 한다.

     현대사에서 강 이름이 붙은 개발의 기적은 두 개다. 독일 라인강과 남한 한강이다. 라인강은 스위스 알프스 산맥에서 발원하여 독일을 지나 북해로 빠진다. 1945년 서독은 제2차 세계대전에서 패해 잿더미가 됐다. 하지만 폐허에서 일어나 경제 기적을 이뤘다. 50~73년 연평균 5.9% 성장을 기록했다. 통일 독일은 지금 다시 한번 경제 기적을 만들려고 한다.

     북한에는 대동강이 흐른다. 강물은 낭림산맥 한태령에서 시작해 450㎞를 달려간다. 평양을 가로질러 남포에서 서해로 흘러 든다. 대동강은 유역이 넓고 수량이 풍부하다. 그래서 고구려가 이곳에 풍성한 문화를 만들 수 있었다. 지금도 대동강은 아름답다. 금수산 모란봉에는 신록이 우거지고 섬에는 능수버들이 춤 춘다. 강물은 능라도를 감싸 안으며 주체사상탑 옆으로 풍성하게 흐른다. 강변에선 공화국의 청춘 남녀가 사랑을 속삭인다.

     그러나 강 바닥에는 다른 게 있을 것이다. 피폐한 생활에 시달리는 북한 주민의 한숨이 있다. 수용소에 갇혀 있는 이들의 비명이 녹아있다. 북한의 핵 개발이 만드는 한반도의 불안이 깔려 있다. 이제 이런 강을 다른 강으로 만들어야 한다. 이명박 대통령은 남한 4대 강을 개발했다. 박근혜 대통령은 북한 대동강을 개발해야 한다. 두껍게 퇴적된 과거를 준설하여 새로운 문명의 강물이 넘치도록 하는 것이다.

     박 대통령의 아버지는 한강의 기적을 이뤘다. 딸은 취임사에서 ‘제2 한강의 기적’에 도전하겠다고 했다. 그런 경제부흥은 물론 시급하다. 하지만 대동강도 잊어선 안 된다. 한강만큼 대동강의 기적도 중요하다. 대동강이 박근혜를 부른다.

    김진 논설위원·정치전문기자
  • 허영환 2013.06.11 07:28
    배명복 칼럼] 미·중 신시대 개막[중앙일보] 입력 2013.06.11 00:29 / 수정 2013.06.11 07:01
    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빛바랜 사진 속 두 사람이 웃고 있다. 마오쩌둥(毛澤東) 중국 국가주석과 리처드 닉슨 미국 대통령. 둘은 손을 마주 잡고 그윽한 눈길로 서로를 바라보고 있다(위 사진). 1972년 2월 21일, 베이징에서 촬영된 이 한 장의 사진은 미·중 화해의 상징이 됐다. 그로부터 강산이 네 번 바뀔 만큼의 시간이 흐른 2013년 6월 8일, 미 캘리포니아 랜초미라지의 휴양지 서니랜즈. 두 사람이 노타이 와이셔츠 차림으로 나무 벤치에 앉아 있다. 버락 오바마 미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다(아래 사진).

     41년 전 중국을 방문하면서 닉슨은 세계에서 가장 키가 큰 수종(樹種)인 미국 삼나무 묘목을 선물로 가져갔다. 오바마는 아예 미국 삼나무로 벤치를 만들어 시진핑에게 선물했다. 그리고 그 위에 함께 앉아 포즈를 취했다. 중국 언론은 미·중 신시대의 개막을 상징하는 역사적 사진이라고 흥분하고 있다. 묘목이 자라 거목이 되고, 그 거목으로 만든 벤치에 미·중 정상이 나란히 앉아 천하대세를 논할 정도가 됐다는 것이다.

    [신화=뉴시스]
     이번 미·중 정상회담은 여러 면에서 파격이었다. 격식에 얽매인 공식 회담이 아니라 느긋한 분위기에서 가감 없이 속내를 털어놓는 비공식 회동 형식을 취한 것부터가 이전과 달랐다. 두 사람은 회의와 만찬, 산책을 포함해 1박2일에 걸쳐 총 8시간 동안 격의 없는 대화를 나눴다. 미·중 정상이 서로 흉금을 털어놓고 편하게 대화를 나눌 수 있는 개인적 친분을 쌓는 것이 서니랜즈 회동의 목적이라면 그 목적은 달성됐다. 이전의 중국 지도자들과 달리 시진핑은 준비된 메모 없이도 자연스럽게 미 정상과 대화를 이어갈 수 있는 지도자임을 입증했다.

     지난주 서울에 온 찰스 쿱찬(조지타운대·국제정치학) 교수는 “21세기는 미국의 세기도, 중국의 세기도 아닌 ‘노 원스 월드(No One’s World)’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중앙일보 6월 7일자 8면). 어느 나라도 압도적 우위를 차지하지 못하는 ‘무주공산(無主空山)’의 시대라는 것이다. 미국이 기울고 중국이 부상하지만 과거 미국이 누렸던 정도의 영향력은 행사할 수 없을 거란 얘기다. 따라서 21세기에는 미국과 중국이 상호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서로 협력하는 것이 양국은 물론이고 국제사회에도 도움이 된다고 그는 강조한다. 지나친 경쟁에 의존하는 ‘제로섬 관계’를 지양하고 서로 윈-윈하는 상생 관계로 가야 한다는 것이다. 중국이 21세기 미·중 관계의 모델로 추구하는 ‘신형(新型) 대국관계’와 차이가 없어 보인다.

     미·중 관계의 새로운 양식을 선보인 서니랜즈 회동에서 두 정상이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한 것은 북한 문제였다. 시진핑이 준비해간 마오타이주로 건배를 한 만찬 대화의 최대 화제도 북한이었다. 회담을 마친 후 언론 브리핑에서 톰 도닐런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미·중은 북한의 핵 보유를 인정할 수 없고, 북한은 핵을 포기해야 하며 북한의 비핵화를 실현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 “북한에 대한 두 정상의 ‘공감대(common ground)’는 미·중 협력을 강화하는 열쇠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향후 미·중 관계가 새로운 대국관계로 갈 수 있을지를 판가름하는 시금석이 북한 문제라는 뜻이다. 북한으로선 섬뜩한 얘기다.

     그러나 북한에 대한 중국의 시각이 완전히 달라졌다고 보긴 아직 이르다. 완충지대로서 북한의 존재가 여전히 중국의 국익에 플러스라고 판단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다. 북한을 지나치게 압박해 체제 자체가 흔들리는 상황은 원치 않는다고 보는 것이 상식에 부합한다. 핵문제와 관련해 중국이 북한의 팔목을 비틀더라도 일정한 한계를 지닐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이런 점까지 미·중 정상 간에 솔직한 의견 교환이 이루어졌는지는 공개하지 않는 이상 알 수 없다. 북핵을 용인할 수 없다는 미·중 정상의 일치된 입장이 앞으로 어떤 행동으로 구체화할지 보면서 판단할 문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미·중 관계는 이미 북한에 부담과 압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서니랜즈 정상회담이 열리기 하루 전 북한은 남북대화를 전격 제안했다. 정부는 이 기회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12일 재개되는 남북대화를 통해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고 경색된 남북관계를 풀어야 한다. 쉽고 급한 문제부터 하나하나 풀어나감으로써 신뢰를 쌓아야 한다.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와 미·중의 북핵 해결 노력이 투 트랙으로 진행돼 끝에서 만나도록 해야 한다. 미·중 신시대 개막과 함께 한반도 정세 대전환의 분위기가 무르익고 있다. 역사적인 기회를 살릴지 못 살릴지는 박근혜정부의 의지와 역량, 그리고 용기에 달려 있다.

    배명복 논설위원·순회특파원
  • 허영환 2013.06.11 07:37
     
     
     
     
     

     

     

    <iframe id="cMenu1_list_if" class="cMenuIframe" height="275" marginheight="0" src="about:blank" frameborder="0" width="844" marginwidth="0" scrolling="no"></iframe>

     

    입력 : 2013.06.11 03:09

    40년 재탕한 對南 전략 꺼내든 北, 이번에는 '먹튀 後 은둔' 힘들 것
    이미 북핵과 인권은 세계적 어젠다… 朴 대통령, 北의 손 잡나 밀치나
    들러리 그친 역대 정부 넘어서려면 '核 문제 우선' 원칙 대화 임해야

    <style>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style>
    <style> /*기사 본문 유형별 포토 팝업 탭 div*/ 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e/2012/type_mov_onoff.png) no-repeat 0px 0px; } a.pop_btn_mov:hover { background-position: 0px -98px;} a.pop_btn_mov img {display:none;} </style>
     
    김대중 고문
    1972년 최초의 남북 당국 간 접촉이 있은 이래 북한이 40여년간 써먹어 온 대남 전략 패턴을 이번에는 박근혜 정부를 상대로 다시 가동하고 있는 것 같다. 도발로 위기를 조성하고 그 해소책으로 접촉 내지 회담을 연 뒤 원조 등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고 나면 무슨 꼬투리를 잡거나 사단(事端)을 내 상황을 결렬시키고 대결 모드로 되돌아가는, 반복된 패턴 면에서 보면 분명 그렇다. 이번만은 그런 패턴의 일환이 아니고 좀 더 진정성을 지닌 것이기를 바라는 마음이지만, 그동안 북한 '신참 영도자'의 미숙성과 지그재그 액션, 그리고 북한 내부 사정, 특히 군부 동향 등으로 미루어 아직은 긴장을 늦출 계제가 아니다.

    그러나 이번 타이밍과 저간의 과정을 볼 때 이번 회담 제의는 북한으로서는 해볼 만한 수순이다. 29세의 나이로 한 나라를 세습한 김정은으로서는 선대(先代)로부터 권력을 장악해온 60대 이상의 노회한 정치꾼들, 특히 아버지의 '선군정치' 유산을 효율적으로 승계하기 위해서도 대남 강경 자세를 유지할 필요가 있었을 것이다. 원래 취약한 리더십에는 강경이 가장 쉬운 안전판이라는 것은 역사가 입증해온 것이다. 그간 천안함·연평도 도발, 3차 핵실험, 미사일 시험 등은 권력 기반의 정지(整地) 내지 유지 작업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북한의 강경책들은 값비싼 대가를 동반했다. 유엔 제재, 중국의 이완, 그리고 심각한 식량난과 재정 궁핍, 이에 따른 인민들의 고통과 탈북 등은 김정은과 그 집단으로 하여금 더 이상 '강경'에만 안주할 수 없도록 만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다시 '대화 제의→긴장 완화→원조'라는 옛 패턴으로 돌아온 것이다. 문제는 북한이 이번 대화로 세계와 한국의 긴장감을 느슨하게 만든 뒤 얻을 것을 얻고는 다시 체제와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내부의 끈을 조이는 은둔 모드로 되돌아갈 수 있을 것인지에 있다. 다시 말해 그동안 북한 정권이 대한민국을 상대로 써먹었던 온 앤드 오프(on and off) 또는 냉·온 전략이 이번에도 성공할 것인지가 관심사다. 하긴 회담 대표 가지고 억지 부리는 북한 태도를 보니 변한 것은 없는 것 같다.

    그것이 아니더라도 북한이 이번에는 그 전략에서 성공하기 어려울 것 같다. 관건은 북한의 핵(核)이다. 이제 북핵은 한반도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적 어젠다가 돼버렸다. 한국은 물론 미·중 및 주변국과 세계의 관심은 북한 핵과 북한 주민의 인권에 쏠려 있다. 오바마와 시진핑은 지난 주말 캘리포니아 회담에서 한반도 비핵화, 북핵 불용인을 천명했다. 북한이 핵 문제를 피해 가기는 아주 어렵게 됐다. 북한이 핵에 집착하는 한, 세계와 화해하기는 어렵고, 박근혜 정부 역시 핵 문제를 피해 가며 '신뢰 프로세스'에만 초점을 맞추기에는 국내외 여론이 심상치 않다. 여기에 박 대통령의 고민이 있을 것이다. 북한이 모처럼 내민 손, 어찌 보면 박 대통령이 은근히 학수고대했던 북한의 손을 덥석 잡자니 세계와의 공조 그리고 한반도 비핵화라는 국민적 여망이 걸리고, 북한 손을 밀치자니 좌파와의 타협점인 점진적 접근, 북한 동포 지원, 잠정적 평화, 신뢰 프로세스 같은 문제들이 아쉬울 것이다.

    박 대통령은 분명히 원칙을 정하고(또는 방향을 정하고) 대화에 임해야 한다. 핵 문제는 북한도 입장이 있으니 뒤로 미루고 우선 핵 이외의 문제를 풀어가자는 점진론에 기울지 말고 궁극적으로는 핵의 해결 없이는 어떤 것도 진척될 수 없다는 것을 분명히 하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지 않으면 북한의 40년 '먹튀' 전략에 또 하나 조연을 연출하는 꼴이 되고 말 것이다.

    대화를 위한 대화, 무력 도발을 예방하기 위한 저자세 대화는 그동안 해볼 만큼 했다. 역대 대통령은 적극이냐 소극이냐의 차이는 있었어도 모두 분단 극복이라는 민족적 소망과 북한 인민의 고통 해소라는 명분 아래 불가피하게 또는 기회주의적으로 북한 대남 전략에 들러리를 섰었다. 이제 박근혜 정부도 같은 처지에 놓여있다. 더욱 난망한 것은 북핵이라는 엄청난 암초가 더 얹혀있다는 사실이다.

    박 대통령에게는 좋은 여건도 있다. 북한의 영원한 동맹일 것 같았던 중국이 북한의 핵과 호전성에 브레이크를 걸고 있는 것은 모처럼 좋은 기회다. 그것은 '신뢰 프로세스'와 더불어 북한을 설복할 중요한 무기일 수도, 유인책일 수도 있다. 박 대통령이 임기 동안에 북한을 상대로 핵무기의 해체가 북한과 한반도와 그리고 민족 전체에 얼마나 바람직한 것인가를 설득해 낼 수 있다면 그것은 통일 대통령 못지않게 한반도 역사에 빛나는 업적을 이루는 것이다. 그러지 못하고 개성공단을 다시 가동하고 금강산 관광을 재개하며 이산가족을 상봉시키는 일에 자족한다면 그는 역대를 뛰어넘지 못하는 '또 하나의 대통령'으로 남게 될 것이다.
  • 허영환 2013.06.11 07:43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라고요?

    기사입력 2013-06-11 03:00:00 기사수정 2013-06-11 03:00:00

     
     
      
    분단된지 두 세대가 지난 지금 통일의미 갈수록 분열되고 약화
    우리의 백년대계 핵심은 통일…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하는 통일의 상(像) 정립해 국민과 국제사회의 담론 모아야


    김태현 중앙대 교수 국가대전략연구소장
    작년 이맘때 본란에서 필자는 평소 복이 많다고 생각하며 감사한다고 썼다.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면서 전근대를 경험하고 근대화 산업화 민주화 과정을 오롯이 지켜봤다. 그 결과 삶의 수준에 있어서 민족사상, 적어도 세종대왕 치세 이후 500년 만의 최고 성세(盛世)에 살고 있다고 믿기 때문이다. 정치적 자유, 경제적 풍요, 외교적 인정 등 삶의 여러 측면에서 그렇다.

    감사하는 마음의 이면에는 조바심이 있다. 이 성세가 백년 후 후손에까지 이어질 것인가. 그래서 국가와 민족의 백년대계를 준비하자는 뜻에서 ‘국가대전략’ 연구소장을 자임했다. 대한민국이 세계 속에 굳건히 자리 잡고 후손들이 지금보다 나은 삶을 누리려면 대전략(grand strategy)적 사고와 준비가 필요하다는 생각에서였다.

    그런 관점에서 볼 때 대한민국 국가대전략의 핵심에 결국 남북통일이 있다는 것은 두말할 나위가 없다. 뒤를 돌아볼 때 대한민국이 지금의 성세를 누리게 된 데는 분단된 민족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한몫했다. 앞을 내다볼 때 분단은 선진국 문턱에서 허덕이는 대한민국의 발목을 잡을 수 있는 도전이기도 하지만, 그것의 극복을 통해 이 시대의 위대한 도전을 완성할 기회이기도 하다. ‘이 나라 살리는 통일, 이 겨레 살리는 통일’은 단순한 노랫말이 아니다.

    그런데 세월이 흐르면서 우리의 통일역량은 갈수록 약화돼 왔다는 느낌을 떨칠 수 없다. 하나는 안의 문제다. 경제력이나 군사력 같은 물질적 역량의 문제가 아니다. 통일을 바라고 대비하는 국민의 여망, 곧 사회적 역량의 문제다. 분단된 지 어언 두 세대. 그 사이 통일은 현실성을 잃고 ‘우리의 소원은 통일’은 입에 발린 한낱 노랫말이 되고 말았다.

    사실 통일이라는 말은 정서적, 규범적, 정치적으로 매우 민감한 단어가 됐다. 통일이라면 누구나 나름의 입장이 있고, 그 입장에 따라 사람됨이 평가되기도 한다. 그래서 통일을 이야기하다 자칫 멱살잡이가 벌어지기도 한다. 나아가 북한을 축으로 이루어진 정치적 분열구조와 대북정책을 위주로 전개된 정치적 경쟁의 와중에 통일의 의미는 찢어지고 발겨졌다.

    요컨대 통일이라는 단어는 하나지만 그것이 담고 있는 의미는 극도로 다양해졌고 사람마다 그 의미가 달리 부각돼 통일에 대한 온전한 대화가 어려울 지경이 됐다는 것이다. 보수인사가 통일을 말하면 북한의 붕괴를 바란다고 생각한다. 진보인사가 통일을 말하면 북한의 입장에 동조한다고 생각한다. 그 비용을 먼저 생각하여 이 나라 ‘살리는’ 통일이 아니라 ‘망치는’ 통일이라고 하는 사람을 만난 적도 있다.

    다른 하나는 밖, 곧 국제적 역량의 문제다. 신장된 국력을 바탕으로 국제사회에서 대한민국의 위상과 외교력이 크게 상승했다는 것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분단을 비정상적 상태로 간주하고 그것의 해소를 당연시하는 국제사회의 인식은 오히려 약화된 감이 있다는 것이다.

    “수십 년 동안 독일통일이라는 별은 두꺼운 구름층에 가려져 있었다. 한순간 구름이 걷히면서 그 별이 모습을 드러냈다. 우리는 그 순간을 놓치지 않고 별을 잡아챘다.”

    1990년 독일통일 당시 서독 외교장관을 지낸 한스디트리히 겐셔의 말이다. 작금의 국제 정세와 한반도 정세를 감안하면 남북통일의 별이 언제 그 모습을 드러내도 놀랄 일이 아니다. 과연 우리는 그 별을 잡아챌 준비가 돼 있는가.

    지난 정부에서도 통일 외교, ‘통일 항아리’ 등 통일에 대한 준비를 강조했다. 그렇지만 무엇보다 중요하고 시급한 것은 통일의 상(像)을 정립하고 그것을 중심으로 국민의, 또 국제사회의 인식이 수렴되는 담론적 차원의 준비다. 그것이 없으면 통일 항아리에 돈이 모이지 않는다. 그것이 없으면 국제사회가 한반도 현안을 논의할 때 왜 한국이 주도적 위치에 있어야 하는지 납득하지 않는다.

    그 요체는 통일의 개념화에 있다. 통일이라는 단어가 지칭하는 대상을 형상화하는 것을 말한다. 베트남, 독일 등 역사적 선례에 경도되거나 과거 특정 정부의 정책에 고착되지 않고 역사의 흐름이 가져올 수 있는 온갖 가능성을 포괄적으로 담을 수 있는 창조적 개념화가 필요하다. 또 남북통일을 한반도에 국한하지 않고 동아시아 공동체 구축을 향한 진일보라는, 발상의 확장이 필요하다.

    그런 점에서 박근혜정부가 내세운 ‘모두가 행복한 통일’이라는 구호는 자못 창의적이다. 우리 국민 모두가 행복하면 통일을 둘러싼 국내적 분열은 없을 것이다. 북한 주민 모두가 행복하다면 통일의 가능성은 그만큼 높아질 것이다. 지구공동체의 구성원이 모두 행복하다면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지를 기대해도 좋을 것이다.

    그것이 단순한 구호를 넘어 구체적 형상으로 국민과 세계인의 마음에 자리 잡을 때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이라는 정부의 정책은 추동력을 얻게 될 것이다.

    김태현 중앙대 교수 국가대전략연구소장

  • 허영환 2013.06.14 08:04
     

     

    •  <iframe id="cMenu5_list_if" class="cMenuIframe" height="274" marginheight="0" src="about:blank" frameborder="0" width="844" marginwidth="0" scrolling="no"></iframe>
       
     

     

    [윤평중 칼럼]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Great Game)'의 勝者는?

  • 윤평중 한신대 교수·정치철학

  •  

      

     

    입력 : 2013.06.14 03:09

    고구려·신라·백제 '평화' 주문 唐, 천안함 '자제 촉구' 中과 판박이
    美國 더해졌지만 반복되는 역사… 북核은 美·中 두 '제국' 국익 침해
    남북 '二國통일'의 정치動學 개시, 통일신라·당처럼 '공동' 승자 돼야

    <style> .par:after{display:block; clear:both; content:"";} </style>
    <style> /*기사 본문 유형별 포토 팝업 탭 div*/ a.pop_btn_mov { width:90px; height:90px; display:block; position:absolute; top:50%; left:50%; margin-top:-45px; margin-left:-45px; background: url(http://image.chosun.com/cs/article/2012/type_mov_onoff.png) no-repeat 0px 0px; } a.pop_btn_mov:hover { background-position: 0px -98px;} a.pop_btn_mov img {display:none;} </style>
     
    윤평중 한신대 교수·정치철학

    6월 27일 열릴 한·중 정상회담은 우리의 미래를 결정할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의 일환이다. 박근혜·시진핑 회담은 김정은의 방중을 교섭했을 북한 특사 최룡해의 중국 방문과 갑작스레 결렬된 남북당국회담에 이어 한국·북한·중국 사이에 전개되어 온 국가 대(大)전략 게임의 중요한 한 수(手)다. 이 시점에 우리에게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은 역사를 긴 호흡으로 차분하게 보는 태도다. 남북당국회담 개최 여부에 호들갑스럽게 반응하는 것은 개성공단 입주 업체와 이산가족들을 포함해 그 누구에게도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런 점에서 박근혜 대통령은 대북 행보의 첫 단추를 냉철하게 끼우는 중이다.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은 남북 외에 미국과 중국을 비롯해 일본·러시아·EU·UN까지 포함하지만 핵심 중 핵심은 한반도와 중국의 관계다. 극단적 가정이긴 해도 미국이 한반도에서 손을 떼는 건 얼마든지 가능한 시나리오인 데 비해 지정학적 이유에서라도 중국과 한반도의 관계를 단절하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중화제국의 존재는 한반도 주민에게 운명과도 같다. 중국적 세계 질서인 조공(朝貢) 체제의 구성원이었던 2000년 한반도 역사가 그걸 웅변한다.

    20세기에서 21세기에 걸쳐 70년 가까이 진행되어 온 현대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의 본질은 남북 '이국(二國) 통일의 정치학'이다. 우리 역사에서 이는 결코 처음 있는 일이 아니다. 장장 700여년이란 세월이 걸려 7세기 후반에 신라가 이룬 '삼국 통일의 정치학'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삼국 통일 과정에서 신라의 노력과 함께 중화제국이 결정적 역할을 했음은 주지의 사실(史實)이다. 역사에서 배우지 않는 자는 역사에 보복당한다.

    당 태종 이세민(599~649)이 돌궐의 위협을 제거한 640년대 이후 한반도 삼국 정립 상황에 본격적으로 개입한 중화제국은 삼국의 조공 사절들에게 '서로 평화롭게 지낼 것'을 주문한다.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피격 같은 북한의 도발에 대해 '유관국들의 자제'를 촉구한 현대 중국과 판박이처럼 닮았다. 그러나 중원의 통일 왕조인 수와 당은 고구려가 중국과 전투를 거듭하는 와중에 조공을 계속했음에도 중화제국의 안보를 위협한다고 보았고, 결국 고구려를 멸망시킨다. 북핵이 중화제국의 국익을 심각하게 침해한다고 중국이 판단할 때에만 남북통일의 정치 동학(動學)이 시작될 수 있으며 자신의 안보에 위협이 될 통일 한반도를 중국은 절대 용인치 않을 것이다.

    대륙의 정세를 정확히 읽고 군사력과 외교력을 결합해 고구려의 전성기를 연 장수왕에 비해 중원의 세력 판도를 오독한 연개소문은 선군 정책으로 국력을 소모해 멸망의 길을 간다. 한강 유역과 비옥한 호남을 차지해 삼국 경쟁에서 우월한 위치에 있던 백제는 중국의 힘을 빌려 고구려와 신라를 공격하려 했다. 그러나 그 노력에는 삼국사기가 기록한 대로 고구려와 백제의 연이은 침공에 맞서 '북쪽을 치고 서쪽을 막느라' 영일이 없던 신라의 절박감이 결여되어 있었다. 결국 신라의 삼국 통일을 가능케 한 것은 생사를 건 신라의 부국강병책과 중화제국의 의도를 꿰뚫은 나당 동맹의 외교력이었다. 이처럼 21세기에도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 골격에는 변화가 없다.

    역사는 반복된다.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에 미국이 부가되었지만 중국의 사활적 중요성은 줄지 않는다. G2 미국과 중국이 북핵을 미·중 제국의 안보에 대한 위협이라고 판정한 오바마·시진핑 정상회담은 남북통일의 정치학이 개시되었음을 뜻한다. 박근혜 대통령은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그 흐름을 본궤도에 올려놓아야 한다. 경제 교류와 외교 동맹에 기초한 한·중 우호 관계가 한·중 군사 동맹의 가능성까지 타진할 때 한반도 판세가 일변할 것이다. 북한의 '핵 보검'은 아무것도 벨 수 없는 녹슨 칼이 된다. 그때에만 북한의 진정한 변화가 가능할 터이다.

    중국이란 존재는 한반도의 운명이다. 하지만 중국의 대국굴기에도 팍스 아메리카나를 대체할 팍스 시니카 시대는 오지 않을 것이다. 일취월장하면서 강력한 국가를 자랑하는 중국이지만 진정한 의미의 '법치주의와 책임 정부'를 결여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비해 대한민국은 강한 국가와 법치주의, 책임 정부를 시민의 힘으로 결합해 선진국으로 약진하는 중이다. 소프트 파워를 갖춘 매력(魅力) 국가로서 중강국(中强國)의 길을 힘차게 가고 있는 것이다. 결국 통일신라와 당처럼 한국과 중국도 한반도 그레이트 게임의 공동 승자가 될 수 있다.

  • 허영환 2013.06.19 14:30

    [중앙시평] 북한 핵문제, 명답과 정답

    [중앙일보] 입력 2013.06.19 00:45 / 수정 2013.06.19 09:14
    안희창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전문위원
    북한이 제의한 북·미 고위급회담을 한국과 미국이 일소에 부치는 형국이다. 박근혜 대통령은 그제 오바마 미국 대통령과의 전화통화에서 “북한과 대화를 위한 대화는 북한이 핵무기를 더 고도화하는 데 시간만 벌어줄 뿐”이라고 말했다. 미국도 북한이 ‘말이 아닌 행동으로 비핵화 의지를 보여주지 않으면 대화는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북한은 핵협상에서 합의→보상→도발→합의를 반복해 오면서 핵능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켜 왔다. 보수건 진보건 모두 인정하는 대목이다. 한·미의 대응에 일리가 있는 배경이다.

     여기서 통일부 전직 고위관료가 최근 필자에게 해준 “통일이나 북핵 문제에는 명답이 있을 수 있으나 정답은 없다”라는 말이 기억난다. 맞는 말이다. 통일이나 북핵 문제에 전 세계적으로 날고 긴다는 엘리트 관료와 교수들이 개입했지만 그 결과가 신통치 않았기 때문이다. 북한이 ‘고난의 행군’을 하던 1996년 2월 미국 중앙정보국장은 “북한 지도부의 붕괴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고 의회에서 증언했다. 다른 국내외 전문가들도 여기에 동조했다. 그러나 북한 지도부는 아직까지 건재하다. 영국의 이코노미스트지는 1992년 ‘남북한이 늦어도 2000년도에는 확실하게 통일된다’는 취지의 기사를 게재한 적이 있다. 필자도 지금 볼 때 얼굴이 화끈거리는 기사를 쓴 적이 있다.

     이런 현상은 북한이 워낙 예측불허의 독특한 체제라는 점에 기인한다. 수많은 주민이 굶어 죽어도 시위 한 번 없는 체제, 지도자가 사망했다고 울부짖는 주민들…. 자유민주주의 체제의 시각에서 보면 도저히 이해가 안 되는 행태다. ‘신정(神政)체제’니 ‘유격대 국가’니 하는 여러 개념규정이 있지만, 이것들을 다 합쳐도 깔끔하게 해명이 안 되는 체제가 바로 북한체제다. 이런 북한에 대한 서방세계의 인식과 해법이 다른 것은 어찌 보면 자연스러운 일이다. 오죽하면 김대중·노무현 정부 시절 통일부에서 함께 일했던 고위관료들조차 지금은 해법이 다른 견해를 피력한다. 한 사람은 “북한의 핵 보유로 북·미 수교, 북·일 수교, 정전협정의 평화협정화 등을 통한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라는 개념은 그 실효성과 타당성을 잃었다”며 “통일이 핵문제 해결의 유일한 대안”이라고 강조한다. 대북 압박을 강화해 북한 체제의 붕괴를 유도해야 한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은 “대북 포용정책이 모든 문제를 풀 수는 없지만, 북한체제의 본질상 대북 강경책으로는 우리가 얻을 것이 하나도 없다”고 역설한다. 북한의 핵 능력이 더 향상되기 전에 ‘북한체제 보장=핵문제 해결’이라는 관점에서 협상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필자는 북·미 고위급회담에 대한 현 한·미의 대응이 ‘정답’이 됐으면 좋겠다. 그래서 북한이 자발적으로 핵·미사일 실험을 중단하고, 국제원자력기구의 사찰단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길 바란다. 북·미 간에 실무접촉이 벌어지고, 남북 간에도 당국회담이 개최돼 핵문제를 푸는 ‘선순환’이 가동되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북한이 그런 행동을 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비책도 미리 마련해 두어야 한다. ‘대화를 위한 대화는 안 된다’는 얘기만 임기 내내 할 수는 없는 것 아닌가. 북한 주장을 무조건 들어주라는 얘기가 아니다. 북한이 북·미 고위급 회담을 제안한 국방위원회 중대담화의 내용은 모순과 조잡함이 여기저기서 눈에 띈다. 북한이 한국이나 미국에 대해 욕설을 써도 그냥 넘어갈 것이라는 과거의 타성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것이다. 북한을 좀 더 압박할 필요는 있다.

    그러나 북한이 ‘도발’에서 ‘대화’로 선회한 이상,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박 대통령에게 ‘대화를 통한 북핵문제 해결을 원한다’는 시진핑 중국주석의 말을 전했다. 한반도 상황에 대한 중국의 기본적인 시각을 박 대통령에게 환기시킨 것이 아닐까. 박 대통령도 “북한이 그냥 변하지 않으면 그렇다고 손 놓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일관되게 국제사회와 공조해서 북한이 변화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방법이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라고 말한 적이 있다. 북한이 철통같은 가드(guard)를 내리고 대화의 장에 들어올 수 있는 등대 같은 역할을 한국이 맡아 미·중을 설득하는 구조가 돼야 ‘정답’으로 가는 길이 뚫릴 것이다. 그리고 그 등대는 1972년 보수주의자 리처드 닉슨 전 미국 대통령의 중국 방문 결정 같은 담대한 전략을 개발해 보겠다는 의지가 있어야 가동될 것이다.

    안희창 중앙일보 통일문화연구소 전문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