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조회 수 2426 추천 수 0 댓글 0

 

8. 도모지와 시구문의 남한산성 성지

 

    

 야외 성전-01.jpg

 

  <야외 성전>

    

 

그 사람과는 전혀 말이 통하지 않는다.’ 라고 말할 때,

도무지 말이 안 통해라고도 표현한다.

이 때의 도무지아무리 해도의 뜻으로

도시 都是’ ‘도통 都統과 비슷한 말이다.

 

도무지의 어원은 도모지 塗貌紙로 알려져 있다.

물 묻힌 한지를 얼굴에 몇 겹으로 착착 발라놓으면

종이의 물기가 마름에 따라 서서히 숨을 못 쉬게 막아

죽음에 이르는 형벌이 도모지이다.

 

1860년 경신박해 때 체포된 오치문이란 사람이 울산 장대로 압송된 뒤

도모지 형으로 죽었다고 전해진다.

천주교 기록에는 신자의 얼굴을 한지로 덮은 채 물을 뿌림으로써

숨이 막혀 죽게 하는 백지사(白紙死, 일명 도모지) 형벌을 받았다.”고 되어 있다.

 

병인박해가 일어난 1866128일에는 남한산성의 광주(廣州) 유수(留守)

도배형(塗褙刑) 또는 도모지라고 부르던 백지사 형을 집행했다는 기록이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 뜻도 모르고 자주 쓰는 우리말 어원 500가지. 예담(위즈덤하우스)>

 

너무 많은 신자들이 잡혀오자 피를 보는 일에 진저리를 낸 포졸이나 군사들이

쉽게 처형할 수 있는 방법으로 백지사 형을 선택한 것이다.

 

 

    

성당-01-1.jpg

 

 <성당 : 제대에는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과 최경환 프란시스코 성인의 유해가 안치되어 있다.>

    

 

병자호란으로 우리의 기억에 자리 잡고,

서울에서 가까운 등산 및 드라이브 코스로 사랑 받는 남한산성은,

천주교 박해가 있을 때마다 신자들이 끌려와

3백여 명이 도무지를 비롯한 형으로 순교하여 성지가 되었다.

 

 

조선시대 경기도 광주(廣州)의 행정 책임자는 목사(牧使 3)였다가

1577(선조 10) 2품 부윤(府尹) 으로 승격하였는데

1626(인조 4) 치소와 마을이 남한산성 안으로 이전되었고

1795(정조 19) 다시 유수(留守)가 다스리는 고을로 승격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 관직명사전, 한국학중앙연구원>

 

따라서 부근 여러 곳에서 신자들이 잡혀와

이곳에 갇히고 처형된 것이다.

    

 

포도청 터-로타리 주차장 구석-01-1.jpg

  <포도청 터 표지석>

 

성남시 쪽에서 남문을 통해 산성에 들어서면 나타나는

마을 복판 로터리 주차장 한 구석이 옛 포도청 터이다.

체포되어 온 신자들이 포도청에서 1차 심문을 받은 뒤,

배교하지 않는 교우들은 옥에 갇혔다.

행적이 밝혀진 36명의 순교자 중 19명이 여기서 옥사했다고 전해진다.

 

 

 

    

연무관-04-1.jpg

 <연무관>

 

연무관은 군사들의 훈련과 무술 시합을 열던 곳으로

유사시에는 남한산성을 근거로 하여 수도 남부를 방위하던

수어청 중군의 본영으로도 사용되었다.

대박해로 천주교인들이 체포되어 끌려오면

수어영의 전영장을 겸하던 판관에 의해 이곳에서 심문을 당했다.

 

 

 

  시구문-01-1.jpg


   <시구문>

  

남한산성에는 적의 관측이 어려운 곳에 비밀통로인 암문(暗門)16개 설치돼 있다.

동문(좌익문)에 인접한 제 11 암문은 시구문으로 불리는데 가장 규모가 크다.

순교자들의 시신이 이 문을 통해 성 밖으로 나와 옆 계곡에 버려졌다.

 

  현양문과 순교자 현양비-01-1.jpg


   <현양문과 순교자 현양비> 

  

순교자 가운데 행적이 밝혀진 분은 최초의 순교자인 복자 한덕운 토마스를 비롯하여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의 일가인 김덕심 아우구스티노, 김윤심 베드로,

김성희 암브로시오, 김차희, 김경희, 김윤희와

이천 단내 출신 정 은 바오로, 정 베드로 등 36명에 이른다.

 

    

 

수문과 동문-01-01.jpg

  

  <시구문 바로 옆에 있는 수문과 동문>

 

남한산성은 병자호란 굴욕의 역사 현장이며

순교자의 피로 얼룩진 패배의 장소이다.

그러나 이 굴욕과 순교의 실상과 의미를 깨달을 때

패배의 오욕에서 벗어나

새로운 승리를 맞는 전환의 장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