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조회 수 1538 추천 수 0 댓글 1
 

 모처럼 서울에도 엊그제 제법 비다운 비가 내렸습니다. 푹푹 찌는 더위를 식혀주는 고마운 비였다고 생각합니다. 


이번 7월에도 지난 달과 마찬가지로 중국 요리집에서 만나기로 했습니다.  명동 중국대사관 정문 앞 골목, 중국 음식점들이 대여섯 군데 몰려있는 곳에 있습니다.  대사관과 가장 가까운 회빈장(02-776-7592)입니다. 날짜는 9일(수), 오후 6시입니다.  스폰서는 愚泉 정병호가 맡습니다.

지난 달에는 이태원역에서 가까운 크라운호텔 옆 대한각에서 만났습니다. 모두 20명이나 모였습니다. 김양선  김용진  박기안  박성준  박정범  오세영  유  원  이영일  이한륭  장영조  정병호  정장우  정홍익  정신모  정학철  조삼현  허영환  홍승달 등입니다. 스폰서를 맡은 松泉 오세영의 간청으로 유 원 및 정병호의 부인 두 분을 특별 게스트로 모셨습니다.

원형 테이블 두개에 나눠서 앉았는데, 입추의 여지가 없다는 말이 실감났습니다. 우연하게도 주류와 비주류로 나눠졌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술 소비에서 주류들이 실력을 유감없이 과시했습니다.  여학생 두 분이 앉은 자리에는 송천과 愚溪 김양선 笑泉 박기안  一又 조삼현  이영일  鳴山 이한륭 장영조 등 평소에도 술을 삼가는 분들이 자리를 잡았습니다.

 

주류석에는 우천 청수 정장우 정홍익 无一 정학철 김용진 松河 박정범 同墟 허영환 郎齊 홍승달  등 만만치 않은 술꾼들이 있었습니다. 소생도 이 자리에 끼었지요. 좌석을 배치한 게 아니고 오는대로 그냥 앉았는데, 공교롭게도 주류와 비주류로 나눠진 것이지요. 각자 알아서 자신의 취향을 분류해 앉다 보니 이렇게 구분이 된 걸까요? 

 

 처음엔 맥주로 목을 축이는 듯 하더니 낭제가 가져온 水井坊 한 병이 순식간에 없어졌습니다. 이어 송천이 준비한 17년 산 발렌타인 두 병도 그리 오래 버티지 못했습니다.  그리고 소생이 준비한 금문도 고량주 두 병 중 한 병을 비우고 한 병이 살아 남았습니다.  콩 한 쪽도 나눠야 한다며 비주류 석에도 이런 술들을 권하는 시늉을 했지만 90% 이상을 주류파가 처치했습니다.  비주류 석에서는 유 원이 가져온 와인 한 병을  홀짝거리다가 소주와 맥주로 때우더군요. 주류들이 오랜 만에 호강한 셈입니다.

 

이번 달에도 많이들 모이셔서 한 잔씩 나누며 허심탄회하게 회포를 푸시기 바랍니다.   정 신모  배상. 

  • 허영환 2014.07.04 12:07


    "... 안 마시면 일찍 죽는다"는 학술논문

    폭음하는 사람이 술을 입에 대지 않는 사람보다
    더 오래 산다는 사실이 밝혀져 학계에 충격을
    던져 주고 있다.

    스탠퍼드대와 텍사스 주립대학(오스틴) 연구팀은
    최근 학회보에

    ‘알코올 중독: 임상 실험연구’ 논문을 발표,
    지난 20년 동안 1,824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논문에 따르면
    조사 대상은 55~65세 사이의 노장년층.
    음주와 수명의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찰스 할러헌 교수는
    하루 1~3잔을 마시는
    적당량의 음주자(moderate drinker)와
    3잔 이상을 즐기는 폭음자(heavy drinker) 그룹의

    사망확률이 비음주자(non-drinker) 그룹보다

    훨씬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조사 결과
    비음주자는 20년 기간 동안 69%가 사망했지만
    폭음자는 59%,
    그리고

    적당량의 음주자는 41%가
    숨진 것으로 드러났다.

    할러헌 교수는
    하루 3잔 이상은 권장 소비기준을 넘어서
    알코올 중독 등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지만
    1~3잔 가량의 술은
    건강에 도움이 된다고 풀이했다.

    이 같은 보고서는
    폭음이 간과 심장을 해치고 구강암을 유발하며
    가정의 붕괴를 가져온다는 기존의 학설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이어서
    논란이 일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할러헌 교수는
    ‘건강을 위해 한 잔’(drink to your health)
    이라는 속설이 이번 연구결과 적중했다고 지적했다.